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인수…설비확보·자금조달 '윈윈' 유증·CB 인수로 최대주주 지위 확보, 피스투에스코리아와 경영협력
정새임 기자공개 2025-02-03 08:17:42
이 기사는 2025년 01월 31일 19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벤티지랩이 의약품 생산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큐라티스를 인수한다. 약물전달시스템(DDS) 플랫폼 기술이전(L/O)과 지질나노입자(LNP) 기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을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딜이다.자금난을 겪던 큐라티스는 자금조달이 절실한 시점이었다. 이번 딜은 양사의 니즈가 맞아떨어진 거래였다. 인수 거래 중심에는 최근 큐라티스 최대주주로 오른 피스투에스코리아가 있다.
인벤티지랩은 31일 큐라티스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 1590만주를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당초 피스투에스코리아였던 유증 대상이 인벤티지랩으로 변경됐다.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에 100억원을 투입한다. 취득예정일자는 3월 12일이다.

동시에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가 발행하는 150억원 규모 제4회차 전환사채(CB)도 취득한다. 인벤티지랩이 큐라티스 인수에 투입하는 자금은 총 250억원이다. 이번 거래로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 지분 21.53%를 확보하게 된다.
인벤티지랩은 기존 약물은 미립구에 봉입해 반감기를 늘리는 약물전달시스템(DDS) 플랫폼을 갖고 있다. DDS 플랫폼을 기반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개발하면서 생산설비를 확보하는데 중점을 뒀다. 파이프라인 단위의 L/O를 플랫폼 단위로 넓히기 위함이다.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수준의 생산시설을 확보해 LNP 기반의 CDMO 사업 확장도 꾀했다. 생산시설 확보 방안은 공장만 인수하거나 조인트벤처(JV) 설립, 기업 인수합병(M&A) 등 다각도로 기회를 열어놨다.
마침 GMP 시설을 갖고 있지만 큰 자금난을 겪고 있던 큐라티스가 대상에 올랐다. 인벤티지랩은 지난해 초 큐라티스와 장기지속형 주사제 생산 업무협약(MOU)을 맺으며 연을 맺은 바 있다. 당시 구상은 양사가 공동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이었다. 이후 큐라티스 최대주주가 변경되면서 M&A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큐라티스가 워낙 GMP 시설을 잘 관리하고 있고 캐파가 좋아 양사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큐라티스도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사 경영진들이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번 딜의 중심에는 최근 큐라티스 최대주주가 된 피스투에스코리아가 있다. 피스투에스코리아가 인벤티지랩에 투입한 자금이 큐라티스 인수에 사용되는 구조다.
인벤티지랩은 지난해부터 생산시설 확보를 위한 자금조달을 실시했다. 지난해 9월 390억원 규모 CB를 발행했고 그 중 150억원을 시설자금에 투입키로 했다. 이어 올해 1월 피스투에스코리아를 대상으로 1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이 100억원이 큐라티스 유증에 쓰인다.
피스투에스코리아는 지난해 10월 큐라티스 최대주주에 올랐지만 재무 악화 등으로 경영정상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인벤티지랩과 손잡음으로써 정상화를 위한 활로를 찾았다고 볼 수 있다. 피스투에스코리아는 인벤티지랩으로 최대주주 변경 후에도 큐라티스 경영에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피스투에스코리아는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경영 전반에 전문성을 지니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인벤티지랩이 전반적인 회사 운영을 주도하고 피스투에스코리아가 함께 협력하는 형태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GS칼텍스·현대백 회사채 최저금리…'크레딧 안정성' 부각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용처 분석]R&D 자금 사수 배경, 신규 영입 남수연 사장에 쏠린 기대
- [AACR 2025 프리뷰]만성질환에서 항암으로 뻗는 대웅제약, 3종 신약 '출사표'
- [2025 제약·바이오 포럼]한국 협업 기회 찾는 노바티스, 혁신 '기전·모달리티' 주목
- 피노바이오, 최성구 전 일동제약 사장 사외이사 영입
- 조병철의 다안바이오, 또 기술이전 지씨셀에 'CAR 항체'
- [AACR 2025 프리뷰]오픈이노베이션 입증의 시간, 리가켐·에이비엘·루닛 주목
- [AACR 2025 프리뷰]일동제약의 신약 첨병 아이디언스, 4종 물질 첫 공개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