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슨PE, 에이엘티 부분 회수 완료…상반기 스팩합병 추진 속도 HB인베·코오롱인베 등에 매각, IRR 26.2% 육박
윤준영 기자공개 2025-02-25 08:04:5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4일 15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릴슨프라이빗에쿼티(릴슨PE)가 통신미디어 디바이스 개발회사 에이엘티의 부분 회수를 완료했다. 올해 상반기 스팩합병을 추진해 전체 투자금 회수(Exit)에 시동을 걸 전망이다.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릴슨PE는 최근 에이엘티 구주 일부를 국내 벤처투자사(VC)인 HB인베스트먼트와 코오롱인베스트먼트에 매각했다. 기존 투자금의 약 30%를 웃도는 금액을 먼저 부분 회수했다.
릴슨PE는 금번 회수를 통해 MOIC(원금 대비 수익률) 기준 2.3배, IRR(내부수익률) 26.2%의 고무적인 성과를 올렸다. 에이엘티는 모바일과 AI 디바이스 등에서 기술력을 보유한 회사로, 특히 키즈폰 시장에서 디바이스 제조 강자로 꼽힌다. 지난 2021년 릴슨PE는 에이엘티 매출규모가 약 500억원 수준일 무렵에 일찌감치 프리IPO(상장전 투자유치) 형식으로 투자를 단행했다. 투자구조는 전환사채(CB)다.
이후 에이엘티는 꾸준한 실적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 기준 매출 약 852억원을 기록했다. 수익성도 개선 추세다. 2023년 영업이익은 약 109억원으로 전년 영업손실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2017년 설립된 에이엘티는 모바일, OTT 셋톱박스, AI 디바이스 등 다양한 통신 및 미디어 관련 디바이스를 만드는 기업이다. 2020년 SK텔레콤 전략 키즈폰인 '젬폰(ZEM PHONE)' 디바이스 제작을 시작했고, 이후에 KT, LG유플러스 등 여러 통신사로 공급 저변을 넓혔다.
에이엘티는 2018년 설립 1년만에 SBVA(옛 소프트뱅크벤처스)로부터 20억원을 투자받았다. 이후 2019년부터 릴슨PE, 크로스로드파트너스 등이 재무적투자자(FI)로 합류했다. 크로스로드파트너스는 현재 에이엘티 지분 약 23.3%를 들고 있다.
릴슨PE는 에이엘티의 스팩합병 추진에 따라 부분회수에 이어 전체 투자금 회수에 시동을 걸 계획이다. 에이엘티는 작년 IBK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임하며 IPO(기업공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안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하고 스팩합병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윤준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하이라이트 '고수익성'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부가가치 창출 의문' KPG파트너스, 한양고속 매각 난항
- [격동의 베인캐피탈]인력 보강 나선 한국PE사업부, 입지 변화는
- [격동의 베인캐피탈]'변화 예고' 한국 PE사업부, 투자 담당자 면면은
- '스맥 유증 변수' 릴슨PE, 현대위아 펀딩 안전장치 '브릿지론'
- 팩텀PE, 카스카디아CC 투자금 모집 '난항'
- [격동의 베인캐피탈]초기 멤버 이탈, 대대적 조직 변화 '기폭제'되나
- 프리드라이프 배당 확대, 웅진과 거래 영향 미쳤나
- 부동산·바이오 꽂힌 김정규 회장, 자본시장 큰 손 '급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