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가 사면 '세계3대' 기업? '고디바' 인수 실패후 '길리안' 사들여... '3대 명품초콜릿' 기준 모호해
이 기사는 2008년 07월 21일 14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제과는 지난 달 23일 벨기에 초콜릿회사인 '길리안'(Guylian) 인수를 홍보하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때 롯데가 보도자료에서 제시한 문구 중 하나가 '세계3대 명품 초콜릿'이다.
한국기업이 세계 유수의 기업을 사들였다는 자신감의 발현으로 풀이된다.
사실 세계1위니, 3대니 하는 표현은 흔히 쓰이면서도 때론 조심해야 할 문구다.
매출액, 영업이익과 같은 명확한 기준이나 데이타가 있다면 쉽게 순위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흔히 '명품'이라고 불리는 분야에서는 이런 작업이 쉽지 않다. 기준 자체가 애매하고 품질, 가격, 소비계층 등에 따라 순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
초콜릿도 예외는 아니다. 제과업체와 대학교수진 등 이른바 초콜릿 전문가들이 모여 있다는 국내 연구기관 '한국카카오초콜릿기술협의회' 관계자들도 "개별 시장 상황이 다른만큼 딱히 어느 브랜드가 세계1위 혹은 3대 명품이라고 꼽기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롯데는 길리안 외에 이탈리아의 페레로 로쉐(Ferrero Rocher), 스위스의 린트(Lindt)를 세계 3대 명품이라고 밝혔다. 이 중 린트는 1845년 취리히에서 설립된 150년 전통 초콜릿 명가이고, 페레로 로쉐는 금박포장과 울퉁불퉁한 볼 형태의 초콜릿으로 국내 수입브랜드 판매1위로 꼽힌다.
그런데 초콜릿 마니아들로부터 세계3대 명품으로 꼽히는 회사들은 따로 있다.
역시 벨기에 회사로 인천공항 면세점 등에서 제품이 판매되는 고디바(Godiva), 1850년대 설립된 벨기에의 노이하우스(Neuhaus), 그리고 판형 초콜릿이 유명한 미국의 기라델리(Ghirardelli)다.
여기서 너무나 답이 뻔한 질문 하나.
그럼에도 불구, 롯데가 길리안에 '세계 3대'라는 수식어를 붙여준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당연히 "롯데가 인수했기 때문"이 될 것이다. 그리고 대다수의 신문과 방송은 별 '딴죽'을 걸지 않고 이 표현을 그대로 수용, "롯데가 세계 3대 명품 초콜릿 기업을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만일 롯데가 다른 초콜릿사를 사들였다면? 실제로 그럴 뻔했다.
롯데는 길리안 이전에 벨기에의 고디바 인수 작업을 먼저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길리안은 일본 롯데를 주축으로 현지의 미즈호은행(Mizuho Bank of Japan)을 주관사로 삼아 인수작업을 추진했다.
고디바는 국내에서 인수작업을 추진했으나 가격문제로 협상이 난항을 겪다가 중단했다.
고디바 인수를 성사시켰다면 두말할 것 없이 롯데는 보도자료에 '고디바=세계 3대 명품'란 수식어를 붙였을 것이다.
회사가 달라져도 대부분의 언론은 지금과 별 차이 없는 제목을 뽑았을 것이다. "롯데가 세계 3대 명품 초콜릿 기업을 사들였다"라고.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실적 못 따라간 주가, 주주환원정책 '과제'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