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0년 06월 15일 08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건설이 상암 랜드마크 빌딩 건립 사업비 마련을 위해 추진하던 토지 중도금 반환 협약 대출이 무산됐다.
발주처인 서울시가 토지 중도금 반환 채권 형태의 신용보강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재무적 투자자(FI)는 토지중도금 연체로 인한 사업 차질을 우려해 유상증자를 제안하고 나섰다.
최근 대우건설과 사업 시행사인 서울라이트타워는 건설사 보증 부담을 덜기 위해 서울시의 신용보강이 들어간 토지 중도금 반환 채권 담보 대출을 추진했다. 건설 투자자(CI)들이 지급 보증으로 인한 우발채무 증가를 우려하자 대안으로 토지 협약 대출을 검토한 것이다.
토지 협약 대출은 발주처인 서울시로부터 토지 중도금 반환 채권을 양도받아 이를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다. 서울라이트는 토지 협약 대출로 1300억원을 마련해 서울시에 토지중도금 3회분(3~5회차)을 납입하려 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투자자들이 자체 신용으로 토지중도금을 조달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신용보강을 거부했다. 시는 택지 매각과정에서 토지 중도금 반환 채권 양도가 향후 발주 사업에 선례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재무적 투자자(FI)도 토지 협약 대출 방식의 자금 조달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향후 이벤트(채무불이행)가 발생해도 원금을 회수하기가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토지 중도금을 반환 받기 위해서는 공사가 진행된 토지를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아야 한다. 토지를 원 상태로 바꾸는데 드는 비용과 하도급 업체에 지불할 공사대금 등을 제외하고 나면 투자원금이 얼마 남지 않는다.
재무적 투자자(FI)는 우선 유상증자로 연내에 800억원을 마련해 토지중도금을 납입하자며 중재에 나섰다. 당장 급한 불을 먼저 끈 뒤 차후 자금이 더 필요할 때 상황에 맞춰 다시 조달 구조를 짜자는 것이다. 서울라이트는 이미 지난 5월 14일 3회차 토지중도금 납입기일을 넘기면서 400억원을 연체 중이다.
사업 시행사인 서울라이트타워주식회사와 대우건설 관계자는 “PF-Loan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차선으로 유상증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주단 관계자는 “서울시와 재무적 투자자도 최근 건설사들의 자금여력이 넉넉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자금조달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서로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랜드마크 빌딩 건립사업은 최근 2대 건설 투자자(CI)인 대림산업이 PF지급보증을 거부하면서 자금조달이 지연됐다. 대림산업은 우발채무 증가를 우려해 보증을 거부하고 있다.
출자자들은 이달 중순 이사회에서 브릿지론 구조와 대체 시공사 선정 문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엑스플러스, '아몬드브리즈' 디자인 제품 신규 공개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 [Policy Radar]기부받은 코인, 즉시 현금화 허용된다
- [thebell interview]'리츠' 힘주는 우리자산신탁 "그룹 시너지 극대화"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수익 분담 중심축엔 교보증권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동양생명, 7000억대 외화조달…매각 전 자본관리 '만전'
- [여전사경영분석]iM캐피탈, 3년 만에 기지개…수익 구조 최적화 '결실'
- [Sanction Radar]수출입은행, AML 및 경제제재 준수 업무·책임 명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