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설' 라이나생명, 2020년 결산배당 안 한다 美 시그나그룹 투자금 회수 전략 실현 안해, 중간배당 1500억 이미 집행 영향도
이은솔 기자공개 2021-01-08 07:25:01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7일 08:2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이나생명보험이 2020년 결산배당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매각설이 점화되면서 지주사인 시그나그룹이 매각 전 배당을 통해 투자금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던 것과는 상반된 결정이다. 라이나생명은 지난해 이미 1500억원을 중간배당했던 만큼 추가 결산배당은 진행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다.7일 금융권에 따르면 라이나생명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2020년 3분기 누적 실적을 기준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주당 배당금은 2만1515원으로 전체 배당금 총액은 1500억원이다. 2020년 3분기 누적 순이익 2750억원의 54.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라이나생명은 업계의 대표적인 고배당 보험사다. 외국계 보험사가 한국에 비상장 법인 형태로 진출한 경우로 지주사에 대한 배당성향이 높은 편이다. 국내 가장 큰 생보사인 삼성생명의 배당성향은 30%대, 2위사인 한화생명의 경우 20%대다. 라이나생명, 메트라이프생명, 푸르덴셜생명은 연간 40%에서 많게는 90%까지도 배당한다.
라이나생명의 배당금은 지주회사인 시그나그룹으로 전액 향한다. 라이나생명의 지분은 미국 시그나 체스너트 홀딩스가 100% 보유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0년 3분기말까지 라이나생명이 국내에서 거둔 당기순이익은 총 1조7400억원이며 이중 9900억원을 시그나 체스너트 홀딩스에 배당했다.

이런 가운데 라이나생명의 2020년 배당률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 건 인수합병(M&A) 이슈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라이나생명은 수년전부터 잠재 매물로 거론돼왔고 주관사를 선정했다는 얘기가 알려져 관심을 끌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실사 문제 등이 겹쳐 현재는 매각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지만 원매자가 등장하면 언제든 다시 매각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외국사가 국내 시장에서 철수할 때 공식처럼 따라붙는 것이 바로 배당을 통한 투자금 회수다. 특히 라이나생명은 규모는 작지만 수익창출력이 좋은 알짜회사로 매년 시그나그룹에 쏠쏠한 배당금을 안겨줬다. 텔레마케팅(TM) 채널을 중심으로 영업해 사업비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인수전략으로 손해율 관리에도 성공하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이 20%를 상회할 정도로 수익성이 좋았다.
지난해 KB금융에 매각된 푸르덴셜생명도 국내 철수 전 마지막 배당금을 크게 챙겼다. 푸르덴셜생명 역시 지분 100%를 보유한 미국 푸르덴셜 인터내셔널 인슈어런스 홀딩스에 매년 순이익의 절반 내외를 배당해왔다. 푸르덴셜생명은 매각 전 순이익이 줄었지만 배당금은 유지했다. 결과적으로 배당성향이 보다 커졌던 셈이다.
다만 라이나생명 측은 12월 진행한 중간배당 이후 3월 결산배당을 실시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중간배당만으로도 지난해 배당총액인 1500억원을 이미 채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매각설과 매번 등장하는 고배당 논란을 의식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는 것이란 해석도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메리츠증권 글로벌슈퍼그로쓰랩, 성장기업 '정조준'
- M&A 규제 완화에 지방 저축은행 '꿈틀'
- [DGB금융 포트폴리오 진단]DGB캐피탈, 자본규제 강화 속 성장 해법 찾기 숙제
- [하나금융 차기 리더는]김정태 회장에 주어진 1년, 후계자 양성의 시간
- [교보생명 FI 갈등]어피너티, 딜로이트에 '추가용역 약속' 했나 안했나
- [한국씨티은행 철수설]'묵묵부답' 유명순 행장, 전임자와 다른 행보
- 부산은행 칭다오, 소비자금융 무기로 현지화 '껑충'
- [금융 人사이드]정재호 전 의원, IBK기업은행 '소비자보호 감사' 중책
- 한화생명 '기관경고'에 캐롯손보 재편 계획 '원점'
- 하나금융 임추위의 행장 선택권, '회장 후보' 박성호로 향했다
이은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교보생명 FI 갈등]어피너티, 딜로이트에 '추가용역 약속' 했나 안했나
- 한화생명 '기관경고'에 캐롯손보 재편 계획 '원점'
- [보험경영분석]NH농협생명, 비용절감으로 이룬 호실적
- [보험경영분석]현대해상, 사옥 매각에도 투자이익 '하락'
- [보험경영분석]흥국화재, 항공기 대체투자 손상차손 '미미'
- 푸본현대생명, 디지털 기술로 불완전판매 예방
- 한화생명 '긱이코노미' 실험 성공의 조건
- [보험경영분석]'배당 늘리기' 삼성화재 운용전략 달라졌다
- [금융 人사이드]'푸르덴셜 인수 주역' 이창권 CSO, KB손보 이사회 합류
- [보험경영분석]한화생명, 보장성 중심 포트폴리오 전환 '착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