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우리금융, 자추위서 권광석 행장 교체 가닥실적 평가 엇갈려…'원팀 체제' 강화 기조 작용
고설봉 기자공개 2022-01-28 17:33:31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8일 11: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그룹 자회사대표추천위원회(자추위)가 권광석 우리은행장 교체로 내부 의견을 정했다. 6대 과점주주 전체가 참여한 자추위 위원들은 우리금융그룹 지배구조에 원팀 체제 강화가 절실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완전 민영화로 얻은 기회를 잘 살리기 위해 지주사 회장과 은행장 등 CEO들의 결속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간 유대가 잘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다.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7일 새롭게 출범한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는 이날 곧바로 자추위를 가동했다. 6대 과점주주의 이사들이 모두 합류하면서 자취위는 기존 5인 체제에서 7인 체제로 확대됐다.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위원장이다.
첫 자추위부터 무거운 분위기가 흘렀다. 올 3월 임기 종료를 맞는 권광석 우리은행장의 거취를 놓고 위원들은 고심을 거듭했다. 자추위는 이날 오전 이사회 직후 시작해 저녁 무렵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자추위원 대다수는 권 행장의 연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일부 이견이 좁혀지지 않기도 했다고 알려졌다. 실적 평가에서 의견이 대립됐다.
자추위원 중 일부는 지난해 우리은행의 실적 상승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라도 권 행장을 연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우리은행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순항했다.
하지만 실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우리은행의 지난해 호실적 배경은 부동산 가격 급등과 주식시장 활황 등에 따른 대출자산 증가와 기준금리 인상이 맞물린 반사이이익이란 평가다. 오히려 대출자산 성장세와 수익성 등은 경쟁사 대비 뒤쳐졌단 분석도 나온다.
앞선 관계자는 “시장 환경에 따른 반사이익인지 권 행장의 개인 역량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심도 있게 논의가 이어졌다”며 “경쟁사와의 상대평가 등을 통해서 보면 지난해 우리은행의 실적이 탁월했다고 볼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말했다.
권 행장의 향후 거취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일각에선 지주회사 임원으로 자리를 옮길 것이란 예상도 있지만 결정되지 않았다. 고문 등으로 물러나 경영에서 손을 떼고 자연인으로 돌아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하우스 분석]ECM 바닥 찍은 삼성증권, 이상현 매직 나올까
- OK금융그룹, JB금융 3대 주주로…추가 지분매입 나설까
- [보험경영분석]DB손보, '10년만' 최저 합산비율에 수익성 급등
- 예보, 우리금융 공적자금 13조 전량 회수…24년 걸렸다
- [금융 人사이드]금융위, 김소영 부위원장 임명 서두른 이유는
- 신한캐피탈, 투자금융 성장 지속…전문인력 확대 중
- [은행경영분석]소매금융 폐지한 씨티은행, 기업금융은 건재했다
- 미래에셋증권, 비상장 투자 헤지펀드에 빗장 열었다
- 종투사 따낸 키움증권, PBS 신사업 진출한다
- [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대기업집단된 OK금융그룹…저축은행 내부거래 감소세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RO 워치/신한은행]횡령사건 조기 진화한 '내부통제·리스크관리' 시스템
- [CRO 워치/NH농협은행]위기에 강하다…자산건전성 관리 '이상무'
- ESG 경영의 원조 신협중앙회
- 신한아이타스, 시장지배력 회복…조용병 회장 ‘인사매직’ 통했다
- [금융지주 계열사 이사회 점검]NH농협은행, ‘지역 안배’ 전통 유지
- [CRO 워치/우리은행]연체율·NPL 관리 선방…부실자산 연착륙 '이상무'
- [CRO 워치/국민은행]건전성 지표 정중동 '중기·주택대출' 잠재 리스크
- [금융지주 계열사 이사회 점검]신한카드, 방향성 재정립 이사회 개혁 시작됐다
- [금융지주 계열사 이사회 점검]하나은행, ‘ESG·소비자보호’ 방점…교수출신 대세
- [금융지주 계열사 이사회 점검]KB국민은행, 젊어진 CEO에 이사회도 변화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