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 인수 추진' 제이커브인베, 촉박한 시한에 딜 종결 '빨간불' '속 타는' 나이스 눈높이 낮춰…거래규모 2700억, 구주+CB 매입 구조
이영호 기자공개 2023-09-20 08:29:58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9일 14:4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플란트 기업 ‘디오’ 인수에 나선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이하 제이커브)가 딜을 종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투자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중소형 프라이빗에쿼티(PE)의 프로젝트펀드 결성 어려움은 가중된 상황이다. 이달 말까지로 잡힌 우선협상기간 내 펀드레이징을 완수하는 것이 관건이다.19일 IB업계에 따르면 디오 인수금액은 2700억원 수준이다. 구주 매입에 1800억원이 들어가고, 디오의 전환사채(CB) 900억원어치를 매입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구조다. 이 가운데 1000억원 전후 금액은 인수금융으로 충당할 방침이다. 제이커브가 프로젝트펀드 결성을 위해 모아야 할 금액은 1000억원 후반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제이커브에게 부여된 우선협상 기간은 이달 말까지라는 전언이다. 제이커브는 시장에서 펀드레이징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략적투자자(SI)와의 접촉도 이어가고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우협기간이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이를 감안하면 펀드 결성 기한은 한 차례 더 뒤로 밀릴 공산이 있다.
신생 운용사인 제이커브가 직면한 펀딩 환경은 만만찮다. 신생 플레이어에 과감하게 베팅하던 기관투자자(LP)가 사라진 상태다. 앵커 LP를 구하기가 어려워지면서 중소형 하우스의 프로젝트펀드 결성 난도는 크게 높아졌다. 프로젝트펀드에 의존해야만 하는 중소하우스 딜이 크게 줄어든 이유다.
펀드레이징 결과를 주목하는 곳은 또 있다. 매도인인 나이스투자파트너스다. 2018년 디오를 인수했고 올해로 투자 6년차에 접어들었다. 2021년부터 경영권 매각을 타진해왔지만 투자기간은 늘어지고 있다. 이번 거래가 길어질 경우 엑시트 시점이 내년으로 넘어가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나이스투자파트너스는 딜 종결을 위해 눈높이를 낮췄다. 앞서 거래가 불발된 세심컨소시엄과는 총 3064억원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구주 거래금액은 2294억원이었다. 또 금액이 크진 않지만 안전판 역할을 해줄 나이스그룹의 후순위 출자도 여전히 유효한 옵션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롯데오토리스, '조달 타이밍·금리' 둘 다 잡았다
- [IPO 모니터]KG할리스, 주관사 선정 왜 늦어지나
- KB증권·노앤·신벤투, 리벨리온 펀딩 참여 '1700억 오버부킹'
- 본입찰 임박한 UTK 인수전, KKR 이탈에 원매자 '촉각'
- 정육각, 초록마을 결국 매각한다
- '공개매수 추진' MBK, 한국앤컴퍼니 경영 주도권 쥔다
- [Market Watch]만기집중 vs 수요 회복...발행사들 '눈치게임' 시작됐다
- [IB 풍향계]IPO 주관수수료 첫 40억대, 유안타증권 '함박웃음'
- [Bond Watch]잘나가는 LG전자, 채권 유통시장선 'AAA급' 대우
- CJ CGV, 믿을 구석은 리테일?…시장친화적 금리 제시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포트폴리오 엿보기]'연이은 악재' 메가커피, 프리미어파트너스 '책임론' 대응은
- [LP Radar]국민연금, '해외 인프라투자' 평가방식 손봤다
- [LP Radar]'회계펌 큰 장 섰다' 국민연금, 대체투자 타당성 자문사 선정 추진
- [Behind LP]'사모대출 부상' LP업계, 자산운용 공시 바꿀까
- '제2의 두산로보틱스'를 찾아서
- [Behind LP]'투자 발목?' LP업계, '네거티브스크리닝 도입' 고심하는 이유는
- [Red & Blue]'주주가치 제고효과' 세경하이테크, 3주 만에 주가 80%↑
- 'CS 이천기의 귀환' 제프리스, IB시장 판도 바꾸나
- [LP Radar]'ESG 강화' 과기공, 내년 '네거티브 스크리닝' 도입한다
- [2023 PMI 포럼]“B2B 소프트웨어, 고금리 시기 유효한 장기 투자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