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클래식 뉴 웨이브]필름 콘서트 약진…영화·클래식 음악의 '공생'②영화 상영과 동시에 연주, 2030 청중 유입 통로…영화사 'OSMU' 활용 추세

고진영 기자공개 2024-04-08 09:29:55

[편집자주]

“클래식 음악을 듣는 것은 철학책 읽기와 비슷하죠. 모두가 그럴 필요는 없고, 음악은 전부를 위한 게 아니거든요." 현대음악의 거장으로 꼽히는 크쉬스토프 펜데레츠키가 했던 씁쓸한 말이다. 청중이 있어야 음악이 존재할 수 있다면서도 대중성의 한계를 인정했다. 그런데 만년 겨울이던 국내 클래식 음악 시장에 온기가 들고 있다. 크로스오버 장르의 약진, K-클래식이란 말이 생길 정도로 쟁쟁한 스타 연주자들의 등장이 발판으로 작용했다. 대중화에 열을 올리고 있는 클래식 음악의 현재를 더벨이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5일 07:2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클래식 음악과 영화는 원래부터 떼어놓고 생각하기 어렵다. 무성영화만 존재했을 때 음악은 언어를 대체하는 도구였으며, 무성영화의 시대가 지나고 나서도 플롯과 내러티브에 숨겨진 영향력을 유지해왔다.

예를 들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테마곡으로 더 잘 알려졌다. 스탠리 큐브릭 역시 그의 호러극에 클래식 음악을 꾸준히 사용했는데, 영화 <샤이닝>에서 아니코닉한 '피의 복도' 장면은 벨라 바르톡의 <현악기와 타악기 및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을 써서 공포감을 고조시켰다.

◇2010년대 시작된 필름콘서트…국내는 '걸음마' 단계

최근 심상치 않은 클래식 음악의 부상도 할리우드에서 그 징후를 찾아볼 수 있다. 1920년쯤 시작된 할리우드 황금기 시절을 돌아보면 영화판 '모굴(mogul, 거물)'들이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당대 최고의 스타들을 출연시켰다. 조안 크로포드의 <유머레스크(Humoresque)>, 잉그리드 버그만의 <인터메조(Intermezzo)>, 엘리자베스 테일러의 <토스카니니(Young Toscanini)>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요즘 영화판에선 비슷한 경향이 나타난다. 지난해 브래들리 쿠퍼가 주연으로 등장한 <마에스트로 번스타인(Maestro)>, 2022년 케이트 블란쳇이 연기한 <타르(Tár)>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만큼 클래식 음악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뜻이다.

브래들리 쿠퍼가 영화 <마에스트로 번스타인>에서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을 연기하고 있다.

물론 영화와 클래식 음악의 관계는 일방적이 아니라 상호 공생적이다. 클래식 음악이 영화산업의 발전과 역사에 기여했듯, 최근 몇 년간 클래식 음악의 부활에도 영화음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영국 로열 필하모닉이 지난해 일반 대중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84%가 오케스트라 콘서트를 볼 의향이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2018년 전에는 79%였는데 5년간 적잖이 증가한 수치다. 또 오케스트라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설문 대상자의 24%가 영화음악 공연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미 클래식 시장에선 201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영화에 삽입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공연이 자리잡기 시작했었다. 대부분 영화 상영과 동시에 OST를 실제 라이브 연주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국내에선 '필름 콘서트'로 부르고 있다.

필름 콘서트를 가장 먼저 시작한 곳 중 하나는 런던 최고의 공연장인 로열 앨버트 홀이다. 2009년부터 영화사들과 제휴를 맺고 '필름 인 콘서트 시리즈(Films in Concert Series)'라는 이름으로 로열 필 하모닉,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이 영화음악을 연주해왔다. 올해도 영화 <탑건: 매버릭>과 <아바타> 등의 필름 콘서트가 열린다.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열린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콘서트.

특히 2022년을 기점으로 코로나19의 타격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공연 시장에서 클래식 음악이 눈에 띄는 회복력을 보인 데는 영화음악의 영향이 컸다. 외국과 비교하면 필름 콘서트 산업이 상대적으로 걸음마 단계인 국내에서도 영화음악의 득세는 두드러진다.

◇클래식계 블루오션 '영화·게임'

현재 국내 클래식 공연의 티켓 매출 상위권은 필름콘서트를 비롯한 크로스오버 공연이 싹쓸이하고 있다. 지난해 클래식 음악계에서 돈을 가장 많이 벌어들인 공연도 월트디즈니 100주년 기념 콘서트인 <더 사운드 오브 매직>이다.

월트 디즈니 <더 사운드 오브 매직> 콘서트 포스터

청중들의 연령 변화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 사운드 오브 매직>의 연령별 예매율을 보면 10대부터 30대 비율이 74%에 달했다. 또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 필름콘서트의 경우 10대가 24%, 20대가 39% 비중을 보였다. 보통 클래식 공연은 40대 관객이 가장 많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젊은 청중이 대거 유입되고 있는 셈이다.

공연 구조를 보면 해외에서는 주로 영화사와 메이저 오케스트라가 연계해 필름 콘서트를 제작하지만 국내는 영화사와 공연장, 공연기획사가 손잡고 공연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디즈니 인 콘서트>는 디즈니와 공연기획사 크레디아, 공연장 세종문화회관이 공연을 기획하고 주관했다.

또 클래식 공연기획사가 필름 콘서트 시장을 주도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IP(지적재산권)를 가진 영화사들이 OSMU(원 소스 멀티 유즈) 전략 차원에서 필름 콘서트 활용을 늘리고 있다. 두 업계의 공생이다.

영화뿐 아니라 게임도 클래식 음악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티켓 매출이 가장 많았던 클래식 공연 10개 중 하나로 게임 <원신> 콘서트가 있다. 이밖에 넥슨은 2022년 대표 게임들의 배경음악을 주제로 <넥슨 클래식 콘서트>를 개최했고 스마일게이트 역시 <사운드 오브 아크>를 이달부터 6월까지 전국에서 열기로 했다. 이용자와의 접점을 늘려 게임 충성도를 높이려는 취지다.


다만 이런 트렌드가 정말 클래식 수요의 저변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두고는 아직 걱정하는 시선이 있다. 필름 콘서트 청중이 정통 클래식 관객층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보니,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일회적 관심으로 그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반짝 관심에 끝나는 게 아닌가 하는 회의적 시선이 있지만 영화음악이 클래식 음악의 진입 장벽을 낮춰주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아직 초기 시장인 만큼 해외 사례 등을 공연기획에 참고해서 클래식 관객층으로 흡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