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센터 떠안은 포스코건설…돈 잃고, 고민 늘고 시공·지분인수 3000억 출혈...임차인 모집도 난항
고설봉 기자공개 2014-08-13 08:38:00
이 기사는 2014년 08월 08일 11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송도국제업무단지(송도IBD) 개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포스코건설이 좀처럼 긴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최근 완공한 동북아무역센터 공사와 매각에서도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났으며, 임차인 구하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포스코건설은 지난달 10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송도IBD 내 국내 최고층 동북아무역센터를 준공했다. 이어 이달 1일 동북아무역센터를 시행사인 '링키지2'로부터 대우인터내셔널과 함께 인수했다. 인수 금액은 3460억 원이며, 지분율은 포스코건설 40%, 대우인터내셔널 60%다.
이 과정에서 포스코건설은 최소 15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포스코건설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보다 무려 100억 원이나 많은 금액이다. 포스코건설은 4900억 원을 들여 빌딩을 지었지만 매각가는 1440억 원 깎인 3460억 원으로 책정됐기 때문이다.
또한 포스코건설은 빌딩 매각 과정에서 1384억 원을 추가로 들여 매각 비용을 댔다. 결과적으로 동북아무역센터의 시공사와 매입사로 참여한 포스코건설은 이 빌딩에 사업비와 매각가 차액분 1440억 원과 매입비용 1384억 원의 등 2800여억 원을 썼지만 달랑 빌딩 지분 40%를 손에 쥐었을 뿐이다.
동북아무역센터의 시행사인 링키지2는 포스코건설과 게일인터내셔널이 지분 각각 30%와 70%를 가지고 있는 NSIC의 자회사다. NSIC는 공사비 조달을 위해 포스코건설은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지급 보증을 서는 등 자금 조달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어 손실을 고스란히 떠 안았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송도개발사업에서 이익이 발생했을 때, 포스코건설이 30%의 이익을 가져가도록 돼 있지만 실질적으로 NSIC지분 중 30%를 포스코건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개발 이익 중 포스코건설의 몫은 51%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빌딩 매각 대금은 이미 PF대출금 상환으로 쓰여진 것으로 보여 실질적으로 포스코건설이 챙겨갈 몫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사업비 4900억 원 중 빌딩 매각으로 회수한 비용이 3460억 원에 불과해 나머지 차액 1440억 원은 공중에 뜬 상태다. 특수목적법인(SPC)인 시행사에서 이 1440억 원을 보전할 뾰족한 수가 없다. 결국 시행과 시공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포스코건설이 손실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
|
사실상 포스코건설은 동북아무역센터의 시공과 시행, 매각 과정에서 빌딩 지분 40%를 소유한 것 외에는 아무런 이익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차후 임대수익도 기대하기 힘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대우인터내셔널이 총 13개 층을 임차해 들어오기로 했지만 내부 반발과 이전 실효성을 놓고 의견이 엇갈려 이전 시기를 연거푸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나머지 29개 층에 달하는 오피스 공간을 채울 임차인이 아직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임차를 희망하는 업체들과 물밑 접촉을 꾸준히 벌이고 있어 상황이 호전될 여지가 존재한다. 복수의 관계자는 "인천 및 서울의 중견 기업들에서 임차를 희망해 접촉하고 있다"며 "다만 오크우드 호텔을 제외한 나머지 오피스 공간 전체에 대한 임대차는 조금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게일인터내셔널코리아와 함께 합작법인 NSIC를 내세워 송도IBD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송도IBD를 준공·미분양·진행·예정 등의 프로젝트로 분류하고 각각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담보부증권(ABS) 1조8200억 원을 발행하는 PF대출 재구조화를 진행했다.
7개 증권사가 참여해 1000억~2000억 원씩 인수하고 발행금리는 4~5%대, 만기는 4~6년 정도로 잡았다. 토지담보 대출을 통해 외환은행(3000억 원)과 SC은행(1500억 원)에서 4500억 원의 자금을 빌렸다. 이를 통해 기존 은행권 대출보다 금리를 낮춰 이자 부담을 연간 200억 원가량 줄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비상경영체 돌입' SKT, 유심 사태 수습 '총력전'
- 위메이드 "위믹스 해킹 늑장공시 아니야…DAXA 기준 불분명"
- [Market Watch]DN솔루션즈 이어 롯데글로벌까지, 대형 IPO '휘청'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흥행 실패 우려, 결국 상장 철회로 귀결
- [AACR 2025]제이인츠 'JIN-001', 독성 최소화한 '저농도' 효능 입증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현대차,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속도는 '조절'
- 현대차, 미국 관세리스크 대응 '총력전'
- [감액배당 리포트]한일홀딩스, 자본잉여금 100% 활용 ‘비과세 배당’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