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신탁으로 신탁에 대한 인식변화 이끌 것" [thebell interview] ④하나은행 강성유 변호사 "공익신탁은 사회적 역할하는 도구"
김현동 기자/ 서정은 기자공개 2015-12-28 10:12:32
이 기사는 2015년 12월 24일 10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가고 있습니다. 금융도 그렇게 이동할 겁니다. 신탁은 그런 기능을 하는 시발점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하나은행 강성유 변호사는 유언대용신탁이든 가업승계신탁이든 신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만 신탁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탁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수단으로 공익신탁이 제격이라는 판단이다.
강 변호사는 "신탁이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 뭘까 생각해보면 공익신탁이 답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공익신탁은 기부문화와도 연계돼 있어서 이를 통해 신탁에 대한 인식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현재 12개의 공익신탁을 설정했다.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도 그 중의 하나다.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은 하나은행이 기본적인 설계를 도맡아서 할 정도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은 정책적 성격의 상품이라서 개별 은행의 기여를 말하기는 어렵다. 대신 기부를 원하는 개인이 늘어나고 있어, 그에 맞는 신탁 상품을 늘려갈 계획이다. 청년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백년대계 차원에서의 공익신탁 등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목적의 신탁도 가능하다.
단순 기부는 재산의 관리나 집행 등이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장학재단 같은 경우는 재단 설립에 최소 3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고, 재단 설립 등에 추가 비용이 들게 된다. 이에 비해 신탁은 1주일 정도면 설정을 마칠 수 있고,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가 있어서 비용 면에서도 훨씬 저렴하다.
강 변호사는 "하나은행은 서울신탁은행에서부터 쌓인 노하우와 함께 기존에 신탁을 설정해본 경험과 조직이 있어서 집행과 설정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면서 "공익신탁은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역할을 금융을 통해 할 수 있게 해 주는 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제조업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가듯이 금융도 그렇게 이동할 것"이라면서 "신탁은 그런 기능을 하는 시발점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강성유 하나은행 변호사 약력
△제47회 사법시험 합격(2005)
△제37기 사법연수원 수료(2008)
△법무법인 동인 변호사(2008. 2 - 2011. 8)
△한국금융투자협회 변호사(2011. 9 - 2013. 8)
△KEB하나은행 신탁부 변호사(2013. 9 - 현재)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국GM, 내수부진에 자산 매각…철수설 재등장하나
- 나이벡, 美 바이오사에 '계약금 109억' 섬유증 물질 기술이전
-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50만대 벽 넘었다
- [i-point]그리드위즈, 2024년 ESG 보고서 공개 "탄소배출 감축 성과"
- [i-point]빛과전자, 삼성전자 우수협력사 우수상 수상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KH그룹, 대양금속 손 떼고 빛과전자 인수 선회
- [i-point]투비소프트, 자연어 모델 활용 프로그램 생성 특허 획득
- [i-point]ICTK, 양자 기술 기업 BTQ와 전략적 MOU
- 한투운용 'ACE 빅테크7+커버드콜', 두자릿수 배당률 눈길
- 이지스운용, 스페인 '네슬레 HQ' 매각…손절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