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인-골드만, 카버코리아 투자수익 '1.5조' 지분 60% 4300억 인수후 1.9조 매각, ROI 490%
정호창 기자공개 2017-09-26 07:46:58
이 기사는 2017년 09월 25일 17: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베인캐피탈과 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이 지난해 인수한 화장품 제조업체 카버코리아 경영권 지분 매각을 통해 불과 1년여 만에 1조 5000억 원에 육박하는 투자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본수익률(ROI)은 490%에 달할 전망이다.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과 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은 최근 다국적 유지업체 유니레버(Unilever)와 카버코리아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각대상은 카버코리아 지분 95.39%이며, 거래금액은 3조 원을 조금 웃도는 수준으로 전해진다. 베인캐피탈-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의 보유 지분 60.39% 외에 이상록 카버코리아 대표가 소유한 35% 지분이 거래대상에 포함됐다.
거래가 완료되면 베인캐피탈-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은 약 1조 9000억 원, 이 대표는 약 1조 1000억 원 가량의 현금을 손에 넣게 된다.
베인캐피탈과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8월 카버코리아 지분 60.39%를 4300억 원에 인수했다. 이 대표가 보유한 지분 일부와 벤처캐피탈(VC) 등 재무적 투자자(FI)들이 소유한 주식을 사들여 카버코리아 최대주주에 올랐다.
베인캐피탈-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은 당시 인수대금 4300억 원 중 1300억 원 가량의 자금을 국내 금융권에서 인수금융(Loan)으로 조달해 마련했다. 두 기업의 카버코리아 투자원금은 3000억 원 수준인 셈이다.
유니레버와의 주식매매가 현재 계약대로 마무리되면 베인캐피탈-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은 1년여 만에 1조 4700억 원 가량의 차익을 거두게 된다. 이는 투자원금 대비 약 5배에 근접하는 액수로 투자자본수익률(ROI)은 490%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 당사자들의 계획대로 주식매매절차가 올해 안에 완료된다면 베인캐피탈과 골드만삭스 컨소시엄의 카버코리아 주식 보유기간은 1년 4개월을 밑돌게 된다. 이 같은 투자기간을 고려하면 PEF의 투자성과 측정 지표인 내부수익률(IRR) 역시 투자자본수익률(ROI)과 유사하게 500%에 근접하는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공장 완공' 로체시스템즈, 수익화 기어 올린다
- [이사회 모니터/현대모비스]'의장 경험' 없는 정회장 부자, 균형 잡힌 오너십-경영권
- [이사회 모니터/OCI]지배구조 모범생 불구 이사회 겸직 이슈 '물음표'
- 현대건설, '주택사업 분전' 수주 초과…순현금 3조 시대
- 포스코케미칼 변신 주도한 최정우 회장, 유증 청약했을까
- 'SK와이번스' 품는 정용진 "야구, 저는 잘 모르지만…"
- 현대차, 애플은 '상전'이 아니다
- [매니저 프로파일]'바이오벤처 디자인' 베테랑 구영권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 부사장
- [VC 경영분석]미래에셋벤처, 투자·관리·회수 조화…역대급 성적표
- 예스24, 카카오뱅크 지분 추가 매각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