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창근 대표, '올리브영 + 투썸플레이스' CEO 겸직 "투썸 프리IPO 투자유치 당시 CEO 맡는 조건 계약에 따른 이행조치"
박상희 기자공개 2018-07-11 08:06:00
이 기사는 2018년 07월 09일 15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푸드빌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된 지 1년 만에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올리브영부문 대표로 자리를 옮긴 구창근 부사장(사진)이 투썸플레이스 대표를 겸직한다. 구 대표가 CJ푸드빌에서 투썸플레이스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면서 프리 IPO 투자 유치를 이끈 장본인이기 때문에 상장이 성사될 때까지 직접 경영을 챙길 것으로 관측된다.CJ푸드빌 관계자는 9일 "구창근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올리브영부문 대표가 CJ푸드빌의 자회사인 투썸플레이스 대표 직을 겸임한다"고 말했다.
|
투썸플레이스가 CJ푸드빌에서 물적분할한 자회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CJ푸드빌의 새 수장이 된 정성필 대표가 투썸플레이스 CEO 직을 겸임하는 게 통상적이다. 구 대표의 경우 CJ푸드빌에서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로 적을 옮겼지만 투썸플레이스 CEO를 계속 맡기로 한 것이다.
구 대표의 투썸플레이스 대표 겸임은 투자자와의 계약 관계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CJ푸드빌 관계자는 "투썸플레이스가 외부에서 자금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구 대표가 당분간 대표를 맡는 것으로 투자자와 계약을 했다"고 말했다.
앞서 CJ푸드빌은 투썸플레이스를 물적분할하는 과정에서 구주매출과 신주발행을 통해 외부에서 대규모 자금을 유치했다. 구주매출을 통해 1300억원, 신주발행을 통해 500억원을 유치했다. 구주매출을 통해 유동성 확보가 시급했던 CJ푸드빌에 급한 불을 꺼주고, 신주발행을 통해 독립한 투썸플레이스에 향후 운영자금과 투자금을 확보해주는 일석이조 거래였다.
이 거래를 진두진휘한 사람이 구 대표다. 투썸플레이스 자금 유치는 향후 기업공개(IPO)를 염두에 둔 거래였다. 글로벌 사모펀드 앵커에퀴티파트너스 등 프리(pre) IPO 투자자들이 협상 파트너였던 구 대표가 투썸플레이스 대표를 맡아줄 것을 주문했고, 이 조건이 계약서에 명시된 것으로 파악된다.
구 대표는 투썸플레이스가 상장 등을 통해 FI(재무적 투자자)의 자금회수가 가능할 때까지 경영을 책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지주사 전환 단초 된 SBI그룹 동맹 강화
- 밸류업에 진심인 신한금융, 장기 성과급 80%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