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너스운용 '주력판매사' 하나금투→KB증권 [헤지펀드 운용사 판매 지형도](23)옵션매도형·메자닌펀드 판매 드라이브, 라인업 확대 '파트너'
최필우 기자공개 2019-06-10 14:00:00
[편집자주]
헤지펀드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증권사들을 비롯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시중은행들까지 가세해서 헤지펀드 라인업을 늘리고 있다. 헤지펀드 운용사별 주요 판매채널은 어디인지, 어떻게 관계 형성을 해왔는지 더벨이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19년 06월 07일 07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금융투자를 통해 일임 상품을 주로 판매했던 위너스자산운용은 운용사 전환 후 KB증권과 파트너십을 쌓고 있다. 펀드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는 위너스자산운용과 박정림 대표 취임 후 금융상품 판매에 적극적인 KB증권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
2014년 설립된 위너스자산운용은 지난해 2월 전문사모집합투자업 인가를 받았다. 운용사 전환 전까지 주력 판매사는 하나금융투자였다. 지난 3월말 기준 일임 계약고 2234억원 중 대부분이 하나금융투자 고객 자금이다. 위너스자산운용은 코스피200 콜옵션과 풋옵션을 양매도 하는 전략으로 하나금융투자 자산가들의 신뢰를 얻었다. 양매수 전략을 병행해 다른 자문사와 차별화에 성공하며 러브콜을 받았다.
운용사로 전환한 후에는 KB증권이 주력 판매사가 됐다. KB증권에서 주로 판매된 상품은 '위너스 니케이알파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파생)'이다. 이 펀드는 위너스자산운용의 일임형 상품과 유사한 전략을 사용한다. 일임형 상품이 코스피200을 기초지수로 활용한다면 펀드는 니케이225를 사용한다는 점 정도가 다르다. KB증권이 중위험·중수익 추구 라인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위너스자산운용을 낙점하고 단독 판매 권한을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위너스자산운용이 펀드 라인업을 확대할 때도 KB증권이 판매사로 나섰다. KB증권은 각각 홍콩 메자닌, 국내 비상장주식 투자 전략을 쓰는 '위너스 글로벌메자닌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위너스 Pre-IPO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을 판매했다. KB증권 영업점의 대체투자 상품 니즈(needs)에 정확히 부합한 덕에 위너스자산운용은 운용사 전환 초기 수월하게 자금을 모을 수 있었다.
KB증권 영업점에서 신상품 수요가 높았던 것도 위너스자산운용에 호재가 됐다. KB증권은 박 대표 취임 후 자산관리(WM) 비즈니스 강화에 나서고 있다. 헤지펀드 판매를 늘리는 과정에서 합을 맞출 운용사가 필요했다. 시장에 안착한 운용사들은 대부분 굵직한 판매사를 확보한 상태였다. 이에 신생사로 전환한 지 얼마되지 않았으면서 검증된 트랙레코드를 가지고 있는 위너스자산운용을 핵심 파트너사로 낙점한 것으로 보인다.
위너스자산운용 일임 상품을 대거 판매한 하나금융투자의 펀드 판매잔고는 240억원(14%)이었다. 이어 케이프투자증권(3억원), 키움증권(2억원) 순이었다.
김희병 위너스자산운용 대표는 "운용사 전환 후 상품 라인업을 늘리고 있는데 본격적으로 헤지펀드 판매에 나선 KB증권과 호흡이 잘 맞았다"며 "기존 판매사인 하나금융투자와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눈썰미 좋은 ATU파트너스, 'QWER'까지 품었다
- [Deal Story]현대케피코 회사채 조달 비용 '감축' 기대감
- [Deal Story]금호석유화학 공모채 흥행, 언더금리 확보
- 형지글로벌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 조정
- [메가존클라우드는 지금]AI 컨설팅으로 수익성 개선 도전…영역 확장 박차
- [i-point]이젠임플란트, 글로벌 이벤트 ‘IAM 2025’ 성황리에 종료
- [삼진식품 IPO]매출 1000억 육박 '삼진어묵', 코스닥 상장작업 본격화
- [i-point]크레버스, ‘AI EXPO KOREA 2025’ 참가 성료
- [Company Watch]대웅그룹 편입된 시지메드텍, 1분기 흑자 '선전'
- [Company Watch]CATL 공급 초읽기 들어간 엔켐, 이니텍 매각 결정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인뱅 플랫폼에 지방은행 자본력 얹었다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전국구 금융그룹 걸맞은 경영진 갖췄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JB금융, 기업금융·외국인 대출 핵심 '핀테크 연합'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우리은행, BaaS 신사업에 기업금융 경쟁력 십분 활용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PRM 여신' 4조 돌파, 탄력받은 아웃바운드 영업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은행·자산운용과 시너지, 임종룡 회장 리더십에 달렸다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한창…가계대출 '40%' 고지 보인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하나은행, '당근·네이버' 손잡고 자금조달 경쟁력 강화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외형 성장' 아닌 '체질 개선' 택했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