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 대신 쏘카가 510억 조달한 이유 9000억 밸류에이션으로 510억 조달…쏘카 카셰어링 투자+타다 이슈 해결 가능성도 부각
성상우 기자공개 2020-02-07 08:11:41
이 기사는 2020년 02월 06일 17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타다금지법과 대표이사의 기소 및 재판 등 잇따른 악재로 위기에 몰렸던 쏘카가 1년만에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로 국내 모빌리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 입증됐다는 게 업계 평이다.이번 투자 유치는 쏘카가 주체였다. 타다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란 점과 쏘카의 카셰어링 사업도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타다 관련 악재들도 점차 해소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관련 법률이 국회에서 자동 폐기될 가능성이 높고 타다 운전자에 대한 정부 당국의 해석이 타다쪽에 유리한 결과로 나온 바 있다.
6일 관련업계와 쏘카측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2월부터 최근까지 국내 사모펀드(PEF) LB프라이빗에쿼티(PE)를 포함한 복수의 투자자로부터 총 51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1월 벤처캐피털(VC) 알토스벤처스 등으로부터 500억원 투자를 유치한 지 약 1년만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는 900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애초 타다측은 국회에서 '타다금지법'이 발의되고, 이재웅 쏘카 대표와 박재욱 VCNC 대표가 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는 등 악재가 연달아 터지면서 추가 투자 유치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었다. 외국 투자자와 논의 중이던 최대 6000억원 규모 투자 기회 역시 최근 무산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는 타다 모회사인 쏘카가 유치했다. 타다 이슈를 벗어나면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시선은 여전히 긍정적인 의미다.
쏘카는 투자금의 상당 비중을 카셰어링 사업 확장에 쓸 전망이다. 매출 및 사업 규모가 타다보다 쏘카가 크다. 차량을 지속 공급해야되는 사업 구조상 사업자금도 많이 들어간다.
국내 카셰어링 업계 1위 사업자인 쏘카는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국적으로공유 차량 1만2000대를 운영 중이며, 가입자는 580명 규모에 이른다. 카셰어링 산업이 정착된 국가 단위로 보면, 단일 국가 최대 규모다. 쏘카 차량 대수는 지속 증가세다. 이번 투자 결정의 무게 중심이 타다보다 쏘카에 더 쏠려있다는 의미다.
타다에 대한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되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지난 1월 법사위 상정이 불발된 타다금지법(여객사업법 개정안)은 2월 중으로 예정된 임시국회에서 다시 논의될 전망이다. 다만 총선이 임박한 시점에서 구체적인 법률적 논의가 어려워 이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논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다 서비스에 대한 법원 판결 역시 두 대표에 대한 선고공판이 사실상 2월말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이면서 이 관측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임시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으면 총선으로 돌입하면서 법안은 자동 폐기된다. 총선 이후 새로 구성될 국토위가 동일한 법안을 내고 통과시킬 지는 미지수다.
관건은 두 대표에 대한 재판 결과다. 오는 10일 결심공판이 예정돼 있다. 이날 검찰의 구형과 변호인 진술 및 피의자 최진술이 이뤄진다. 재판부의 판결이 내려지는 선고공판 일정도 이날 나온다. 통상 선고공판은 결심공판 이후 수주에서 수개월 뒤 열린다.
최근 나온 서울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의 판단은 재판 과정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지노위는 타다 운전기사가 근로기준법상 노동자가 아닌, '프리랜서'에 해당한다고 봤다. 이는 검찰이 타다를 유상운송사업자, 즉 택시사업자로 본 법리적 해석을 반박하는 논리다. 타다가 유상운송을 하기 위해 기사를 직접 고용하고 실질적인 업무 지휘 감독을 했다는 검찰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근거가 나온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엘앤에프 자금조달 승부수]'급한 불' 끈다...3000억 확보 '확정적'
- [엘앤에프 자금조달 승부수]1000억 풋옵션 임박, 자금조달 더 필요해졌다
- [비상장 게임사 도전기]성장하는 위메이드커넥트, 'IPO 삼수' 성공할까
- [저축은행경영분석]건전성 사활 건 솔브레인저축, 3달새 자산 10% '감축'
- [보험경영분석]서울보증 순익 내림세…책임경영 '자사주 매입' 돌입
- KB뱅크 인도네시아, 현지인 행장으로 '영업' 강화 나선다
- [저축은행경영분석]하나저축, 대손충당금에 또 '발목'…유독 긴 적자 터널
- 한화생명 GA들 실적 성장, 한금서 IPO 전략도 순항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황병우 회장, 업계 최초 '지방 연고 시중은행' 초석 놓았다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KB저축, 내년 CSS 재개발 완료…개인대출 변별력 강화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그리드위즈, 2024년 ESG 보고서 공개 "탄소배출 감축 성과"
- [i-point]ICTK, 양자 기술 기업 BTQ와 전략적 MOU
- [i-point]엔젤로보틱스, 국내 첫 ‘로보틱 레이스’ 참여
- [싸이닉솔루션 IPO]이현 대표 지분가치, 250억 '잭팟' 가능성
- [i-point]딥노이드, 머신비전 누적수주 160억
- [코스닥 CB 프리즘]'유심 해킹' 대안으로 부상한 ICTK, 210억 투자유치
- [i-point]수자원기술, 환경부 ‘녹색 신산업 지원사업’ 선정
- [i-point]필옵틱스, 글로벌 톱티어 고객사에 TGV 장비 공급
- [i-point]바이오솔루션, 노보텍과 손잡고 '카티로이드' 글로벌 임상 본격화
- [i-point]인텔리안테크, '커뮤닉아시아 2025'서 첨단 위성기술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