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 '보텀업→톱다운' 평가 설계기준 확 바꿨다'일반·본부·콜라보' 그룹간 기준 차별화…영업환경 반영해 항목·배점 차등 적용
고설봉 기자공개 2020-09-11 07:24:49
이 기사는 2020년 09월 09일 07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은행의 올 하반기 KPI는 상반기보다 더 정교하게 다듬어진 부분이 많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상반기 KPI 전략목표 수립의 원칙이었던 보텀업(bottom up) 방식을 버리고 톱다운(Top Down) 방식으로 하반기 KPI를 설계했다는 점이다. 본사 차원에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거시적 전략목표 수립에 더 중점을 뒀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위로부터 전략목표 및 평가항목 등을 설계해 각 영업단위로 경영목표를 내려보내는 식으로 평가 방식도 일부 변경됐다. 특히 예년보다 더 세밀하게 각 영업조직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했다. 일반 영업점과 본부직속 영업점, 콜라보그룹 등 각 영업조직간 평가항목 및 배점에 차등을 뒀다.
올 상반기 하나은행의 KPI 목표설정 방식은 보텀업이었다. 아래에서부터 의견을 모아 상위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텀업 방식으로 전략목표를 만들고 KPI 평가항목도 설계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 KPI는 구체적이고 일률적인 평가항목 및 배점을 정하지 않고 일선 영업점의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했다.
세부적으로 올 상반기 KPI는 각 영업단위 별로 평가항목 및 평가배점을 설정하게 했다. 각 영업점은 평가항목 중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요소를 기준으로 KPI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자율적인 KPI가 잘 구성될 수 있도록 본사 영업지원부 등에서 평가를 지원하는 형태다.
하지만 올 하반기 KPI 전략을 180도 바꿨다. 하반기 전략 목표설정에 도입된 방식은 톱다운이다. 중앙에서 평가항목과 배점을 일률적으로 정해 각 영업조직에 내려보냈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평가항목 풀(Pool)을 만들어 기준을 세우기도 했다. 평가항목도 상반기와는 다르게 구체화됐고 배점도 명확해 졌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하나은행은 현장의 목소리를 일부 반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 각 영업조직별 특성을 고려해 일부 평가항목과 배점을 차등하는 형태로 진화했다. 올 하반기 각 영업단위 조직 특성을 고려해 일반 영업점과 본부직속 영업점, 콜라보그룹 간 배점을 달리했다. 위에서부터 평가항목을 정해서 하달한 만큼 최대한 현장에서 유기적으로 영업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준 것으로 보인다.

올 하반기 일반 영업점과 본부직속 영업점, 콜라보그룹 평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는 부분은 손익기반 항목이다. 하나은행은 일반 영업점의 손익기반 평가점수로 430점을 배점했지만 본부직속 영업점과 콜라보그룹에 대해서는 총점을 480점으로 높혔다.
손익기반 배점이 각 영업조직간 다른 이유는 하위 평가지표인 성과이익과 계수Pool에서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일반 영업점은 성과이익에 350점을 배점했지만 본부직속 영업점은 400점을 부여했다. 콜라보그룹에는 360점을 줬다.
또 계수Pool의 경우 일반과 본부직속 영업점에는 각각 80점을 배점했지만 콜라보그룹에는 120점을 줬다. 계수Pool은 올 하반기 신설된 평가지표로 핵심저금리성예금 20점, 원화총수신 10점, 중소대출(평잔) 20점, 중소대출(신규) 10점, 외국환실적 30점을 각각 배점했다. 콜라보그룹에는 이 계수Pool의 배점을 조정해 최종 배점을 120점으로 높혔다.
손님기반 평가항목도 각 영업조직별로 차이가 난다. 일반 영업점과 본부직속 영업점의 경우 배점이 250점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세부 내용은 다르다. 일반 영업점은 개인손님에 더 많은 배점을, 본부직속 영업점은 기업손님에 더 많은 배점을 부여했다. 기업고객들과의 접점이 더 넓은 본부직속 영업점의 특성을 고려한 조치다.
콜라보그룹의 경우는 손님기반 배점을 300점으로 크게 높혔다. 콜라보그룹은 은행 영업점들을 지역 밀착형·특화·공동 영업을 위해 지역별로 묶어 운용하는 제도이다. 지역 내 경쟁보다는 협업을 통해 지역 손님을 유치하는 부분에 배점을 크게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정책 평가항목에서도 각 영업조직에 대한 평가를 달리했다. 일반 영업점과 본부직속 영업점의 경우 정책 평가항목의 하위 평가지표는 건전성, 손님만족, 기술금융, 서민금융, 현장전략, 협업, 연금 등 7가지다. 하지만 콜라보그룹은 평가지표가 현장전략, 손님만족, 협업, 연금 등 4가지로 줄었다. 배점도 일반 영업점은 420점, 본부직속 영업점은 370점, 콜라보그룹은 320점으로 각각 다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마스턴운용, 용인 백암 물류센터 '백기'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VIP운용, 주성엔지니어링 분할계획에 반대표
- [더제이운용 ETF 승부수]시장 타이밍 '적기'…사업다각화 고민 '결과물'
- [증권사 기관전용펀드 열전]부동산 PEF 경쟁 심화…'공동GP' 카드 만지작
- KB증권 PBS, 주식형 수탁 강화…수익성 높였다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KB증권 OCIO, 최단기간 3관왕 저력 '승부수'
- [운용사 실적 분석]타임폴리오, 'The Time 시리즈' 끌고 자회사 밀고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하나자산운용, 소신있는 의결권 행사 기조 '눈길'
- 끈끈해지는 한국증권-칼라일 밀월… 6호 펀드 추진
- 머스트운용 초장기 펀드, 5년 락업 구조 실험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8700억 태운 호반그룹, 결국 경영권 분쟁할 것"
- [삼성 바이오 재편]'임박한' 상법 개정안, 삼성도 다급했나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AP홀딩스, 에어프레미아 인수자금 감당 가능할까
- [thebell desk]흔들리지 말아야 할 국적항공사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압박수위 높이는 호반, 한진칼 공략포인트는
- [감액배당 리포트]KISCO홀딩스, 대규모 '비과세 배당'...주주연대 '만족못해'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