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대 사업' 총괄 브랜드 찾기 '쉽지 않네' 중간지주사 전환 '선결 과제'…'탈통신+반도체' 관통 키워드 찾아야
최필우 기자공개 2020-10-26 07:43:55
이 기사는 2020년 10월 23일 14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텔레콤 사명 변경 작업이 좀처럼 마무리되지 않고 있다. 박정호 SK텔레콤 대표가 '탈통신' 차원의 사명 변경을 시사한 지 2년이 다 돼가지만 뚜렷한 결과물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사명 변경이 기업 성격에 변화를 주는 중간지주사 전환 작업과 맞물려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중간지주사 전환 후 사명을 바꾸게 되면 SK하이닉스가 자회사 대열에 합류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SK텔레콤의 5대 사업(MNO, 미디어, 보안, 커머스, 모빌리티)에 반도체 사업까지 더해지면 이들을 아우르는 사명을 찾는 게 한층 어려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취임 후 줄곧 사명 변경 의지를 표명해 왔다. 지난해 1월 'SK투모로우'가 후보로 급부상했으나 구체적인 지향점을 알기 어렵다는 평가 속에 잊혀졌다. 올해 1월에는 CES2020에서 'SK하이퍼커넥트'가 새 사명 후보로 알려지며 주목 받기도 했다. 다만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명이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명 변경 가능성이 불거질 때마다 따라다니는 게 중간지주사 전환 이슈다. SK텔레콤은 이동통신사업 틀에 갇히지 않고 신사업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사명에서 이동통신을 뜻하는 '텔레콤'을 지우고 지배구조도 신사업 중심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아직 지배구조가 어떻게 개편될 지 장담할 수 없는 만큼 사명 변경은 중간지주사 전환과 비슷한 시기에 이뤄질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현재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을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하고 투자회사 사명을 바꾸는 안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새 사명을 다는 중간지주사가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등을 지배하는 구조가 될 전망이다. 이같이 개편이 이뤄지면 MNO 사업도 자회사로 분류되기 때문에 신사업 자회사의 존재감이 지금보다 커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중간지주사의 새 사명 통한 이미지 변신도 가능하다.
다만 5대 사업부를 포괄하는 사명을 정하는 건 쉽지 않은 작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적극적인 자회사 육성 전략을 쓰는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게임즈,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지, 카카오뱅크 등 카카오 브랜드에 사업명을 붙이는 식으로 회사 이름을 지어왔다. SK텔레콤은 이와 달리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줄 수 있는 이름을 짓기로 했지만 자칫 영위하는 사업을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
5대 사업과 지주회사 전환 후 자회사가 될 SK하이닉스의 성격이 다른 것도 고민 거리다. 플랫폼 기업, 서비스업 성격이 강한 5대 사업과 달리 반도체가 주력인 SK하이닉스는 제조업 성격이 명확하다. 공교롭게도 SK하이닉스의 존재감이 추후 중간지주사 산하에 편재될 자회사 중 가장 커 이를 의식하지 않고 사명을 정하긴 쉽지 않다. 최근 티맵모빌리티 분사가 결정된 것처럼 또 다른 신사업 자회사가 추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사명 변경 계획에는 변화가 없으나 새 사명이나 변경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사명 변경과 중간지주사 전환을 같은 맥락으로 보는 시각도 있는데 두 변화가 꼭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Peer Match Up/더블유컨셉 vs 29CM]지향점은 '콘텐츠 커머스', 접근 디테일이 만든 '차이'
- [실리콘투는 지금]가이던스 초과 달성, 다변화 전략도 '성과'
- [IR Briefing]CJ제일제당, '온라인 강화’ 국내사업 ‘반전 모색’
- [Earning & Consensus]성장 기반 강화 ㈜신세계, 수익성 '속도 조절'
- '스팩 합병' 뉴키즈온, 조달 자금으로 해외 '재도전'
- 외식 키우는 한화갤러리아, 오민우 상무 '무거운 어깨'
- [퍼포먼스&스톡]이마트 실적에 나타난 '정용진 효과'…주가에는 아직
- [thebell note]에이피알의 두 번째 엔진
- [Company Watch]'연결' 분기 첫 흑자 컬리, 현금 창출력 개선세 '뚜렷'
- [Earning & Consensus]최종환 체제 파라다이스, 연간 OPM 15% '청신호'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NK금융 인사 풍향계]경남은행, 부산은행과 인사 교류로 '투뱅크' 한계 극복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밸류업 트리거 될 'ROE 10%' 보인다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성대규 단장 CEO 취임 수순, '영입 인사' 힘 실린다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업의 경쟁력' 강화, 키워드는 '외국환·자산관리·연금'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성연수원' 매각해 자본비율 높인다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개선에 달린 '밸류업' 가능성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