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 매각 고려했던 한화솔루션, 상처 곪고있나 수익 하락, 부채 부담 '이중고'‥대형 부채 짊어진 한화큐셀 지원책 가능성도
박기수 기자공개 2020-11-02 08:15:06
이 기사는 2020년 10월 29일 15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초 세 사업 부문(화학·태양광·첨단소재)이 합쳐지며 탄생한 한화솔루션은 최근 첨단소재 부문을 재분할하고 일부 지분 매각을 검토했다고 전해진다. 한화솔루션은 공식적으로 "분할 후 매각을 검토한 것은 맞지만 현재로서는 전혀 추진되지 않고 있다"고 부인했다.업계에서는 첨단소재 사업부 일부 매각 가능성에 대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해석을 내놓는다. 또 한 번 매각을 검토했던만큼 추후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어떤 배경에서 첨단소재 사업부 부분 매각을 검토했을까. 유력한 것은 재무구조 개선이다. 한화솔루션은 매각 고려 배경에 대해 "영업이익이 계속 나고 있기 때문에 재무구조 개선 차원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다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첨단소재 부문, 상처 곪고있나
우선 자회사 상황을 배제한 한화솔루션 별도만을 보면 회사의 주장대로 재무적으로 급한 상황은 아니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106.7%다. 차입금 이자비용 역시 556억원으로 영업이익(1894억원)을 통해 충분히 대처가 가능한 수준이다.
다만 여기서 부채비율 수치 106.7%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화솔루션은 한화케미칼(화학)이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태양광·첨단소재)를 합병하며 탄생한 법인이다. 합병 직전 재무지표인 2019년 말, 한화케미칼의 별도 부채비율은 64.4%에 그쳤다.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합병하고 부채비율이 뛰었다는 말은 태양광과 첨단소재 사업 부문이 짊어지고 있던 부채가 상당했다는 의미다.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는 비상장사로 사업·반기·분기보고서 제출 의무가 없었다. 연간 감사보고서만 제출해왔다. 사업·반기·분기보고서보다 적은 정보를 제공하는 연간 감사보고서를 통해서는 각 사업 부문 별 실적 등 자세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첨단소재부문'의 실적만을 오롯이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발자취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탄생 이전 시점으로 옮기면 첨단소재 부문의 상황을 어느 정도 조명할 수 있다.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는 2018년 한화첨단소재가 한화큐셀코리아를 합병해 탄생한 회사다. 즉 2017년까지는 현신 한화솔루션 내 첨단소재 부문, 즉 한화첨단소재의 성적표를 확인해볼 수 있다.
2017년 말 한화첨단소재의 부채비율은 181.3%로 나타나있다. 문제는 금융비용 대비 현금창출력이 극도로 하락했다는 점이다. 2016년까지 이자보상배율로 2배 이상은 기록하고 있던 한화첨단소재는 2017년 1.1배로 급격히 낮아졌다.

2018년과 2019년의 성적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있다. 올 초 공시된 2019년 한화솔루션 사업보고서를 통해서다. 한화솔루션은 사업 부문을 △원료 △가공 △유통 △태양광 △기타 부문으로 분류해놨는데 첨단소재 부문은 이중 △가공 부문에 속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가공 부문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134억원, 307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올해 상반기 역시 136억원의 손실을 냈다. 결과적으로 합병 전후 첨단소재 사업 부문의 재무 상황이 악화했고, 일부 유동화를 통해 재무 개선을 노렸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화큐셀 지원책?
다른 가능성은 유동화를 통한 타 계열사 지원이다. 한화솔루션의 종속기업 중 부채 부담이 큰 자회사 중 한 곳은 바로 영국령 법인인 한화큐셀(Hanwha Q CELLS Co., Ltd.)이다.
이 한화큐셀은 한화첨단소재에 흡수합병됐던 한화큐셀코리아와는 다른 법인이다. 독일에서 파산했던 '큐셀'을 2012년 한화가 인수한 곳이 한화큐셀이며 한화그룹 후계자인 김동관 사장이 경영수업을 받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나스닥에 상장했다가 최근 상장폐지를 결정하기도 했다.
한화솔루션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 한화큐셀은 작년 말 기준 부채총계가 1조7633억원에 달한다. 반면 자기자본은 9447억원에 불과하다. 부채비율은 187%이다. 작년 170억원의 순손실을 내기도 했다.
이런 내막 탓에 업계는 한화그룹 태양광 사업의 핵심인 한화큐셀 지원을 위해 첨단소재 사업 부문 유동화를 결정했을 가능성도 점친다.
재계 관계자는 "올해 신용평가사들이 한화솔루션의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바꾼 것이 한화로서는 압박감으로 다가왔을 가능성이 크다"라면서 "부채 부담이 큰 계열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화로서는 고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명해야 할 것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3년만에 FCF '플러스' 전환…4883억 순상환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관과의 '연결 고리' 강화
- [밸류업 성과 평가]DB손보, 금융권 2위…메리츠에 모자랐던 '한 끗'은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