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비은행 계열사 덕 실적 선방 부산·경남은행 이익 부실, 증권·캐피탈 등 선전에 수익성 방어
김현정 기자공개 2020-11-02 07:55:25
이 기사는 2020년 10월 30일 0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금융지주가 은행 부문의 실적 약세를 비은행 계열사에서 만회한 모양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코로나19로 인해 수익성이 꺾인 상황에서 증권과 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들이 지주사의 실적 약화를 만회해줬다.29일 BNK금융이 내놓은 2020년 3분기 실적발표에 따르면 부산은행은 3분기 256억원 규모의 수수료부문이익을 올렸다. 전분기대비 61% 감소했다.
2분기 경우 수수료이익에 일회성이익이 많이 포함돼 있던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은행은 2분기 660억원 규모의 수수료이익을 올렸다. 이 가운데 엘시티 PF 관련 일회성 수수료이익이 400억원 정도로 파악된다.
이를 제외하면 올 3분기 누적기준 수수료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1%가량 줄었다. 부산은행은 최근 1년 동안 분기별로 200억~300억원대 초반 정도의 수수료부문이익을 올렸다. 뚜렷한 성장세는 엿보이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 부산은행 신탁부문이익은 3분기 누적기준 129억원 정도로 집계됐다. 금액 자체가 미미한데다 전년 동기대비 17.8% 감소한 수준이다. BNK금융은 은행의 PF 중심 수수료이익 증가가 그룹 비이자이익 강화 성과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안정적 기반이 갖춰진 상태는 아니다.
아울러 올해 코로나19와 기준금리 인하 기조로 난감한 상황을 겪고 있다. 이자이익 감소와 충당금 대거 전입을 방어할 수익이 마땅치 않은 셈이다. 부산은행은 올 3분기 누적 기준 이자부문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56억원(4.1%) 줄었다. 같은기간 순이익은 전년 대비 982억원가량(27.6%) 감소했다. 경남은행도 비슷한 상황이다. 같은 기간 이자부문이익이 171억원(2.8%), 순이익은 145억원(8.9%) 감소했다.
반면 투자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들은 선전했다. 덕분에 그룹 전체 비은행 이익 비중이 높아졌다. BNK금융은 올 상반기 비은행부문 순익 비중(21.6%)이 처음으로 20%를 돌파했는데 3분기(22.8%)에도 이 기세를 몰아갔다.
BNK캐피탈과 BNK투자증권, BNK자산운용 등은 올 3분기 누적기준 순이익을 각각 638억원, 361억원, 24억원 올렸다. 전년 동기대비 각각 7.4%, 89%, 84.6% 증가한 수준이다. BNK투자증권의 경우 주식시장 호조 덕분에 수수료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BNK저축은행은 누적순이익이 150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금융지주]'13% ROE’ JB금융 수익성 최고…iM금융은 고전
- [이사회 분석/삼성전자]사내이사 5인체제 균열, 반도체로 재편된 이사회
- [Financial Index/금융지주]NPL·요주의·충당금 삼박자…우리금융, 건전성 ‘최상위’
- [이사회 분석/삼성전자]초격차 설계자로 꾸린 '코어' 보드 멤버
- [밸류업 성과 평가]NH투자증권 증권사 1위, 주가 상승폭 최대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하위권 DGB금융, 역성장의 덫
- 사외이사를 발굴하는 SK의 안목
- [밸류업 성과 평가]JB금융 5위권 진입, 지방금융그룹 저력
- [밸류업 성과 평가]4대 금융지주 밸류업 순위는…KB·하나·우리·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