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합병, 이해득실 살펴보니 5인 대표이사 체제...김동관 전략부문 대표이사 '시너지' 고민
조은아 기자공개 2020-12-14 08:02:55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9일 15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솔루션이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기로 하면서 이유를 놓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양쪽이 ‘합병을 통한 사업영역 확대 및 경영효율성 증대’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화학회사가 유통회사를 합병하는데 따른 업계의 의문은 가시지 않고 있다.이번 합병으로 한화솔루션과 한화갤러리아가 얻는 재무적 이해득실을 따져보면 한화갤러리아가 더 이득이다. 한화갤러리아의 지난해 말 연결 부채비율은 134%에 이르는 반면 한화솔루션의 3분기 부채비율은 89%에 그친다. 한화갤러리아는 또 신용도가 높아지면서 조달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한화솔루션 입장에서도 나쁘지 않다. 한화솔루션은 그동안 사업부문별 실적이 업황의 영향을 많이 받아 들쑥날쑥했는데 내수 중심으로 꾸준한 수익을 내는 한화갤러리아를 인수하면서 안정적으로 현금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한화갤러리아는 2018년 484억원, 2019년 41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실적이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시적 요인을 제외하면 앞으로도 꾸준한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한화솔루션은 5명의 각자 대표이사 체제가 되는데, 5명이 한 지붕 아래 있는 만큼 각 대표 간 의사소통이나 사업 조율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질적 합병을 향한 시장의 의구심을 떨쳐내기 위해 시너지를 내야 하는 무거운 과제도 안게 됐다.
이 과정에서 김동관 전략부문 대표이사 사장을 향한 기대감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김 사장은 앞서 9월 사장으로 승진하며 한화솔루션 전략부문 대표이사에 올랐다.
김희철 사장(태양광 부문), 이구영 부사장(화학 부문), 류두형 부사장(첨단소재 부문), 김은수 한화갤러리아 대표 등 다른 CEO들이 각자 담당하는 사업부문으로 역할이 한정됐다면 김 사장은 사업부문과 상관없이 회사 전반에 걸쳐 사업을 구상하고 전략을 짜는 역할을 한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김동관 사장이 현재도 각 사업부문 대표와 의사소통을 통해 중장기 전략 등을 짜는 역할을 하는데 내년 4월 합병이 마무리되면 그 때 유통부문과도 시너지를 내기 위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합병에서 유통사업을 향한 한화그룹의 고민도 엿보인다. 유통사업이 꾸준한 수익을 안겨주긴 하지만 포화된 국내 시장 위주인 만큼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탓이다. 당장은 한화갤러리아를 구하기 위한 행보로 보이지만 앞으로 사업 확대보다는 현상유지에 방점이 찍힐 것이란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앞서 한화갤러리아는 면세점사업에 야심차게 진출했지만 업황 악화 등으로 4년 만에 사업을 접었다. 한화그룹은 1986년 한화갤러리아의 전신인 한양유통을 인수하면서 유통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번 합병으로 35년 만에 법인이 사라지게 된다.
앞서 한화솔루션은 8일 이사회를 열고 100% 자회사인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합병 예상 시기는 내년 4월이다. 한화갤러리아와 함께 한화도시개발도 합병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은행권 알뜰폰 사업 점검]돈 못 버는 알뜰폰, 호수될까 악수로 남을까
- KB금융 "건전성 회복, 그룹 차원 최우선 과제로 설정"
- [thebell desk]9개월차 금융 출입 단상
- 은행 살아난 KB금융, 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 순이익
- 우리금융도 실적발표 앞두고 일반주주 질문 직접 받는다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2대주주 더존비즈온 역할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신한이 매출 4000억대 '중견기업' 선택한 이유는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신한금융, 자회사 13곳 이사회에 지주 임원 참여…가교 역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인사' 책임지는 신한금융지주 COO의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