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바이오로직스, 중국 바이오텍에 974억 기술이전 3D 메디슨, ALiCE 기반 T-세포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주목
심아란 기자공개 2021-01-05 08:04:50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4일 15:1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항체신약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중국 3D 메디슨(3D Medicines)에 974억원 규모의 라이선스 아웃 딜을 성사시켰다. 거래 규모의 2%인 22억원을 계약금으로 받을 예정이다.4일 와이바이오로직스는 2020년 12월 30일에 3D 메디슨에 YBL-013의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한 중국 지역 전용실시권을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독점적 개발과 상업화 권리가 포함돼 있다. 해당 후보물질은 ALiCE 기반 T세포 이중항체 면역항암제다.
이번 계약으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선급금 200만달러(약 22억원)를 수령한다. 중국 내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및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 등 기술료는 총 8500만달러(약 952억원)다. 상업화 이후 매출액에 따라 단계별로 최대 두 자릿수의 경상기술료도 지급받을 예정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중국 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YBL-013의 국내 및 미국 임상 개발도 계획 중이다.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기술 이전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이번에 기술이전한 항암신약후보 물질 'YBL-013'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인 ALiCE를 기반으로 제작한 첫 번째 신약 물질이다.
ALiCE는 미국에서 특허 등록된 와이바이오로직스의 원천 기술로 2:1 형태의 독특한 구조를 가진 CD3 항체-기반 이중항체를 말한다.
ALiCE 이중항체는 T-세포와 암세포 사이에 위치해 양 세포의 항원에 모두 결합한다. 암세포 항원에 더욱 강하게 결합해 암세포 주변의 T 세포만을 활성화 시키는 게 장점이다. 기존의 T 세포 이중항체가 가지는 독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혁신 기술로 평가 받는다.
3D 메디슨이 포트폴리오에 YBL-013을 추가하는 것은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3D 메디슨은 바이오의약품과 저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뒀다. 피하주사용 PD-L1 항체인 '엔바폴리맙'의 경우 중국 론칭을 앞두고 있다. 글로벌 임상 개발 및 등록, 사업화를 위한 전문 인력도 강점이다. 최근 1억4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도 유치했다.
John Gong 3D 메디슨 대표는 "새로운 구조의 차세대 CD3 항체-기반 이중항체 YBL-013은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며 "와이바이오로직스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YBL-013을 중국 암 환자들을 위한 중요한 치료제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영우 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는 "그간 T 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인 ALiCE 개발에 역량을 집중한 결과 글로벌 기술이전으로 이어졌다"라며 "ALiCE 기술을 통해 현재 이중항체 분야의 핵심 트렌드인 CD3 항체-기반 T세포 이중항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신약 개발 후보들을 다양하게 선보일 것"이라고 말해다.
한편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개발한 항체접합약물(ADC) 신약 후보 YBL-001을 지난 해 12월 초에 픽시스 온콜로지(Pyxis Oncology)에 기술이전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토피아 "사업다각화 성과 잇도록 노력할 것"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주주 이익 극대화하겠다"
- 비상장 주식 거래, '디깅' 트렌드 타고 약세장에도 성장세
- 6G 기반 닦을 '오픈랜' 생태계 확장 나선 통신 3사
- [챗GPT발 AI 대전]라인, 한일 AI 동맹 속 '아시아 글로벌 테크기업' 포부
- 신약에 진심인 일동제약, 비용 줄여도 R&D 늘린다
- JW중외제약, 아토피 신약 올 하반기 임상 2상 완료 목표
- [제약·바이오 융합의 경제]오픈이노베이션 선구자 '한독', 스타트업 키워 파트너 삼는다
- [캐시플로 모니터]LG전자 실탄 받은 LGD, CAPEX·운영자금 부담 덜었다
- DX&VX 거래재개 키워드 '실적, 한미약품 오너 2세'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배당절차 변화 바람]제약바이오 선두는 하나제약, 매출 상위사 '아직'
- [CFO 성과 보수]셀트리온, 낮아진 기업가치…인센티브 영향 '제한적'
- [CFO 성과 보수]LG에너지솔루션, 재무 성과보다 '정성 평가' 중요할까
- [CFO 성과 보수]유한양행, 투자 확대 발맞춘 인센티브 정책
- [배당정책 리뷰]현대건설기계, 배당성향 30% 달성…TSR 개선
- [배당정책 리뷰]동아쏘시오홀딩스, '3년 300억' 배당목표 달성 근접
- [ESG 모니터]ESG 힘 싣는 SK케미칼, 여성 사외이사 부재 '고심'
- [조달전략 분석]현대두산인프라코어, 만기 구조 '단기화' 선택
- [CFO 성과 보수]삼성바이오, '조달+성장' 이끈 CFO에 후한 인센티브
- [배당절차 변화 바람]SK와 다른 길 택한 SK디스커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