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02월 25일 07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연초 대출자산 증가량은 은행의 한해 영업활동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같은 금액이라도 연초에 대출한 자산은 최대 12번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연말로 갈수록 이자를 받는 횟수는 줄어든다. 때문에 시중은행들은 통상 연초에 대출자산 확대에 집중하고 하반기로 갈수록 비이자이익 증가를 위한 상품판매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KB국민은행은 예년과 조금 다른 방식으로 2021년 영업활동을 시작했다. 올해 핵심성과지표(KPI) 개편을 통해 각 영업점에 신규대출은 유치하되 최대한 천천히 자산을 늘리라고 주문했다. 대신 비이자이익 증대를 위해 펀드·신탁·ISA·구조화 등 각종 상품판매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했다.
한 국민은행 지점장은 “코로나19 장기화 리스크에 따라 대출자산 확대에 부담이 커지면서 예년과 다른 형태의 영업환경이 만들어졌다”며 “수익의 양도 중요하지만 올해는 유독 수익성에 집중하라는 지침이 있었고 이자이익보다는 비이자이익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높여달라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국민은행의 실험을 어떻게 봐야할까. 그동안 국민은행은 대출자산 확대를 중심으로 이자이익을 늘리며 리딩뱅크 자리를 유지해왔다. 실제 지난해 말 국민은행의 원화대출금은 296조원으로 경쟁사 대비 50조원 이상 많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그동안 쌓인 대출자산에 대한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다. 경쟁사 대비 대출자산이 월등히 많다는 것은 위기의 순간 그만큼 더 큰 리스크가 한꺼번에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대출자산 증가에 제동을 걸었다.
다만 위기에는 늘 기회가 공존한다. 이자이익은 일부 포기했지만 비이자이익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경쟁사 대부분이 사모펀드 부실판매 이슈로 금감원 제재심을 준비 중이다. 이에 따라 비이자 상품판매에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반면 국민은행은 부실판매 이슈에서 자유롭다.
그동안 국민은행은 비이자이익에선 경쟁사를 압도하지 못해왔다. KB금융그룹 전체적으로 비은행·비이자 이익 강화를 위해 포트폴리오를 개선하는 과정에서도 국민은행의 비이자이익은 제자리걸음 했다. 지난해 상황은 더 나빠졌다. 비이자이익 규모가 줄면서 전체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9년 15.11%에서 지난해 13.65%로 하락했다.
국민은행은 올해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영업활동의 목표를 미세조정했다. 국민은행이 추진하고 있는 영업전략과 KPI 개편은 어떤 결과로 귀결될까. 이자이익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 하고 체질을 개선하는 전환기를 맞을 수 있을까. 국민은행이 그동안 약점으로 여겨졌던 비이자부문을 어떻게 성장시켜 나갈지 기대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GS칼텍스·현대백 회사채 최저금리…'크레딧 안정성' 부각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현대차,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속도는 '조절'
- 현대차, 미국 관세리스크 대응 '총력전'
- [감액배당 리포트]한일홀딩스, 자본잉여금 100% 활용 ‘비과세 배당’ 올인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