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교보악사, CIO 중심 의결권 행사...신설 RI팀 '조력'①베테랑 매니저 김태현 이사 의결권 '주축'…중요 의안 위원회 논의
김진현 기자공개 2021-05-21 13:38:41
[편집자주]
한국형 스튜어드십코드는 2016년 12월 제정됐다. 가장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주체는 자산운용사들이다. 자금을 맡긴 고객들의 집사이자 수탁자로서 책임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는 다짐을 어떻게 이행하고 있을까.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한 개별 운용사들의 조직체계와 주주활동 내역을 관찰·점검하고 더벨의 시각으로 이를 평가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5월 18일 13:5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교보악사자산운용의 의결권 행사는 박찬 주식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중요한 이슈라 판단이 되는 사안을 제외하면 운용담당 임원인 CIO가 의결권 행사여부, 내용 및 방법 등을 결정해 조옥래 대표이사에게 보고하고 있다.2019년 12월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제정하고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공식화한 이후 매년 30여곳의 법인을 대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다. 올해는 의결권 행사 등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도 별도 신설하기도 했다.
◇ '잔뼈 굵은' 김태현 이사 의결권 판단 논거 제시…주요 안건 위원회 논의
교보악사자산운용의 의결권 행사 결정은 CIO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그를 조력하는 실무 책임자가 김태현 투자책임매니저(이사)다. 그는 2000년 교보생명보험에 입사해 주식운용팀을 거쳐 2004년 교보투자신탁운용 리서치팀으로 합류하며 교보악사자산운용과 연을 맺었다. 이후 주식운용팀, 헤지펀드운용팀 팀장, Value운용팀 팀장 등을 거쳐 회사 내 의결권 행사를 결정하는 투자책임매니저를 맡고 있다.
오랜 기간 펀드 운용을 해오며 수많은 의결권 행사 결정에 참여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회사 내 의결권 행사 과정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그는 교보악사자산운용이 투자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 의결권 행사가 필요한 대상 기업을 추리고 의안에 대한 내용을 검토한다.
이후 해당 의안에 대한 찬반 결정과 논거를 만들어 박찬 CIO 등과 함께 의결권 행사 방향을 최종 결정한다. 박 CIO는 이 과정에서 의결권 행사 논거 등을 검토해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 대표이사 보고를 통해 최종 의결권 행사 결정을 마무리짓는다.
단 교보악사자산운용은 주요 이슈라고 판단되는 사안에 대해선 반드시 의결권행사위원회를 열고 이를 논의한다. 법인의 합병, 분할, 해산 등과 같은 사유나 대규모영업이익양수도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의결권행사위원회에는 박찬 CIO외에도 준법감시인, 위험관리책임자(CRO), 주식리서치팀장, 줄리안맥켄지 부사장(Deputy CEO & COO) 등이 참석한다. 사안에 따라 의결권 행사와 관련된 부서의 부서장 등도 참석해 의견을 개진한다.

◇ 외부 자문기관 '의견' 참고…RI팀 '신설' 책임투자 강화
교보악사자산운용은 의결권자문기관인 대신경제연구소의 자문을 참고해 의결권 결정 판단을 내린다. 다만 여타 자산운용사와 마찬가지로 의결권자문기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한다.
올해는 내부 리서치 강화 등을 위해 조직을 새로 신설했다. LDI(Liability Driven Investment)본부 산하에 RI(Responsible Investment)팀을 꾸려 스튜어드십코드 준수를 위한 의결권 행사 방향 등을 논의하고 있다. 이밖에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관련한 리서치 및 투자결정 권고 등도 해당 부서가 하는 일에 포함된다.

LDI본부장을 겸하고 있는 이용신 본부장이 RI팀 팀장을 겸하고 외부에서 영입한 애널리스트 2명이 의결권 행사 등에 관한 검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외부 자문 기관에 대한 참고 및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적으로 조직을 꾸린 셈이다.
점진적으로 악사인베스트먼트매니저스(AXA Investment Managers)와의 교류 확대를 통해 의결권행사 및 ESG 투자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내보다 더 오랜 기간 책임투자를 강조해온 유럽 지역의 투자 경험을 참고해 자체적으로 의결권 행사 강화를 위한 논의를 하겠다는 거다.
교보악사자산운용 관계자는 "외부 자문사 의견은 기본적인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의결권행사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을 신설했다"며 "앞으로 ESG 등 책임투자 원칙에 맞게 기업관여활동이나 의결권 행사 등을 수행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VC, 꽉 막힌 IPO 대신 장외 시장 회수로 '선회'
- [thebell League Table]한파 닥친 회수 시장, PE 회수가 '웃풍' 막았다
- '금성백조 오너가' 라이징에스벤처스, 영역 확대 나선다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파트너스, 모기업 펀딩 '최후의 보루' 활용
- 인터베스트, 벤처 조합 AUM 1조 돌파 '순항'
- [기업형 VC 돋보기]벤처투자 한획 이용성 대표, 원익투자 성장 '일등공신'
- [2022 VC Forum]"VC 시장 활성화 세컨더리펀드·민간투자 확대 필요"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홀딩스, VC 보유 회피 솔루션 '싱가포르 법인'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투자파트너스, 출범 키워드 '한미은행·협성회'
- 레이저쎌, 약세장 속 흥행 VC 자발적 확약 '한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