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좁혀진 신한·국민간 이익 격차대출·NIM 여전히 국민은행 절대 우위, 신한·우리 개선세 '뚜렷'
이장준 기자공개 2021-10-28 07:30:44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7일 16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들어 이익 규모를 기준으로 시중은행들의 판도 변화가 뚜렷하게 감지된다. '리딩뱅크'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간 격차는 계속해서 좁혀지는 추세다. 3위 쟁탈전도 이에 못지않게 치열한데 매 분기 우리은행이 하나은행에 앞선 양상이다.각 금융그룹이 발표한 2021년 3분기 실적자료 및 팩트북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2조199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을 감안하지 않은 수치다. 1년 전 같은 기간 1조9041억원과 비교하면 15.5% 증가했다. 지난해에 이어 현재까지 리딩뱅크를 수성하고 있다.
2위인 신한은행은 2조1305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전년동기(1조7653억원)와 비교하면 1년 새 순이익증가율은 20.7%로 국민은행보다 가팔랐다. 두 은행 간 이익 격차가 좁아졌다는 의미다.
올해 들어 분기별 순이익을 비교하면 양사가 거둔 순이익의 갭(gap)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양사의 순이익 격차는 올해 1분기 340억원이었다. 2분기 231억원, 3분기 119억원으로 줄어드는 양상이다.
지난 3년간 분기별 두 은행의 순이익을 비교하면 2019년과 2020년 1분기를 제외하면 국민은행이 우위를 점했다. 이에 최근 신한은행의 이익 성장세를 기반으로 국민은행을 넘어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출 성장세를 보면 신한은행이 조금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 대비 올 9월 말까지 신한은행의 원화대출금 증가율은 6%를 기록했다. 5.5%의 증가율을 보인 국민은행에 살짝 앞선 양상이다.
다만 기존 대출자산 규모는 여전히 격차가 상당하다. 9월 말 기준 KB국민은행의 원화대출금은 311조8163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신한은행의 원화대출금은 263조7197억원이었다. 대출 수익성을 보여주는 순이자마진(NIM) 역시 여전히 국민은행이 크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 3분기 중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NIM은 각각 1.58%, 1.4%를 기록했다.

3위 쟁탈전도 치열하다. 2019년 3분기에는 하나은행이 순이익 기준 리딩뱅크 지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때부터 지난해까지 하나은행이 줄곧 우리은행보다 많은 이익을 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정반대 양상이 나타났다. 근소하지만 매 분기 우리은행의 순이익이 하나은행을 넘어선 것이다. 1분기에는 162억원, 2분기와 3분기에는 각각 144억원, 157억원씩 순이익을 더 많이 냈다.
원화대출금 규모도 우리은행이 더 많아졌다. 지난해에는 양사 모두 222조~240조원 수준에서 엎치락뒤치락했으나 올해 들어 매 분기 우리은행의 원화대출금 잔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대비 올 9월까지 우리은행의 원화대출금 성장률은 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의 원화대출금은 6.3% 늘어났다. 이에 따라 9월 말 기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원화대출금은 각각 257조495억원, 254조352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하나은행이 NIM 측면에서는 '한 수 위' 모습을 보였다. 우리은행을 매 분기 1~4bp 차이로 따돌렸다. 3분기 중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NIM은 각각 1.4%, 1.36%를 기록했다.
원화대출금이 증가한 절대 금액으로 봐도 우리은행이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많았다. 9개월 새 16조7826억원 늘어났다. 이어 신한은행(16조3594억원), 하나은행(15조1649억원), 국민은행(14조9071억원) 순으로 이어졌다.
반면 NIM은 우리은행이 이들 중 가장 낮았다. 건당 수익성은 낮지만 대출자산을 보다 공격적으로 늘리는 '박리다매' 전략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래에셋운용, 인프라 투자도 질주…AUM 8조 목전
- 삼표그룹, 사상 첫 '외국인 부회장' 영입
- '3조 클럽' 풀무원, 중국 사업 건기식→식품 재편 박차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네파, 합병에서 기인한 상환 부담…'수익성'에 방점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지배구조 변동 전 주주 정책 변화, 대규모 배당 실시
- [Company Watch]미국 키우는 LG생활건강, '1800억' 투자 재무 영향은
- [지앤푸드는 지금]'오븐구이'로 성장한 20년, 신사업 전환점 맞나
- [레페리는 지금]'뷰티 마케팅' 특화된 MCN, 1호 상장사례 만들까
- [thebell desk]오리온의 '심장'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락앤락, '투자→자산 매각'으로 효율화 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