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영 선포 2년' 현대일렉트릭, '정상궤도' 안착 저탄소·그린뉴딜 덕 ESS 신사업도 청신호…"미국시장 개척"
박기수 기자공개 2021-10-28 09:59:26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7일 16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9년 9월, 실적 부진과 재무구조 악화가 겹친 현대일렉트릭은 이사회를 열고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했다. 대규모 유상증자로 자본확충에 나섬과 함께 비핵심자산 처분이 이어졌다. 부서 통폐합과 임원 축소, 유휴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도 불가피했다. 당해 말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직을 맡았던 조석 사장을 대표이사로 영입하면서 고강도 체질개선에 나섰다.비상경영이 선포된 후 2년이 지난 현재 현대일렉트릭의 재무와 실적 상황은 전체적으로 개선됐다. 여기에 최근 '친환경'이 재계의 화두가 되면서 현대일렉트릭이 시도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도 주목받고 있다.
27일 현대일렉트릭은 3분기 기업설명회를 열고 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941억원, 74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1.9%로 견조하다고 보기는 힘든 실적이나 이번 분기는 미국 애틀란타 판매법인의 캐나다 반덤핑 관세 관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다.
또한 3분기는 현대일렉트릭이 계절적으로 약한 분기다. 여기에 전력기기 부문 주요 납품처인 한국전력 계열 물량의 납기가 일부 연장되면서 매출도 힘을 받지 못했다. 이 물량은 4분기로 실현돼 4분기 매출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매출 회복과 함께 수익성 역시 개선될 전망이다.

3분기 부진을 고려해도 비상경영을 선포했던 2년 전과 비교하면 어느정도 '안정화'에 성공한 모습이다. 같은 기간 누적 실적을 비교하면 단서가 나온다. 2019년에는 3분기 누적 연결 매출과 영업손익이 각각 1조2088억원, 마이너스(-) 1166억원이었다. 올해는 3분기 누적 연결 매출과 영업손익이 각각 1조3160억원, 300억원이다. 작년 3분기 누적 영업손익 520억원에 이어 정상궤도에 오른 셈이다.
재무구조 역시 눈에 띄게 개선됐다. 2년 전인 2019년 3분기 말 현대일렉트릭의 연결 부채비율과 순차입금비율은 각각 215.3%, 70.5%였다. 특히 순차입금비율이 70%에 달한다는 점은 당시 현대일렉트릭의 과도한 차입금의존도를 가늠케 한다. 당시 자기자본 대비 차입금 비율은 130%에 달했다.
2년이 지난 현재 이 비율들은 모두 내려갔다. 올해 3분기 부채비율은 200%로 여전히 낮다고 볼 수는 없는 수치지만 자기자본 대비 차입금 비율은 82%로 하락했다. 특히 영업현금흐름 개선으로 보유 현금이 늘어나자 자본확충 효과로 순차입금비율이 31%로 떨어졌다. 2년 전 보다 약 40%포인트 하락한 셈이다.
여기에 현대일렉트릭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이 유망 산업으로 업계의 조명을 받고 있다는 점도 향후 실적과 재무 전망에 고무적이다. 작년부터 정부가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하면서 현대일렉트릭의 에너지솔루션 사업 부문은 다양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특히 올해 한전으로 발주한 50메가와트(MW) 규모의 '제주 FR ESS'가 대표적이다. 수주금액은 170억원이다.
현대일렉트릭은 3분기 실적발표회를 통해 향후 ESS 산업에 관한 전망을 발표하기도 했다. 현대일렉트릭은 "ESS 없이는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익성이 다방면으로 좋아질 시그널들이 있다"라면서 "국내 시장보다는 북미 시장에 중점을 두고 현지 시장 개척을 위해 업체들과 미팅 중에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오너 2세' 황규영 건화 대표, 상장 전 수익성 회복 과제
- [두산건설 밸류업 중간점검]도시정비 수주 사활, '위브' 브랜드 경쟁력 키운다
- [thebell interview]"美 진출, 물류센터로 첫 발…고급주거 개발 박차"
- [이뮨온시아 IPO]'모기업·신약' 기대감, 기관 엑시트에도 몸값 두배 커졌다
- 세아제강, 허리띠 졸라맸지만…영업현금흐름 '마이너스 전환'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기술통' 이보룡 부사장, 판재사업 정상화 '전면에'
- [LCC 통합 전초전]자회사에 '2800억' 쏜 아시아나, 현금곳간 '빠듯해졌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E&F PE, 코엔텍 매각 개시…차주 티저레터 배포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
- [비용 모니터]원가 부담 덜어낸 삼성SDI, 실적 회복 추진력 얻었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삼천리, 쌓이는 현금에도 0.1~0.2배 박스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