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10월 29일 07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세븐브로이맥주(대표 김강삼)가 주관사 선정을 끝내고 IPO 준비에 착수했다.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은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을 4000억~6000억원으로 책정했다. R&D 역량과 수제맥주 시장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지난 6~7월 리테일 대상 IR에서 제시한 밸류보다도 훨씬 높다. 실제로 더벨에서 입수한 IR 자료에 따르면 당시 세븐브로이맥주는 목표 시가총액을 2500억원으로 설정했다. IPO 투자 수익률은 무려 283%로 제시했다.
숫자만 보면 그럴싸하다. '곰표 밀맥주' 인기에 힘입어 업계 최초 상장사 제주맥주가 아직까지 달성하지 못한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작년에 이미 달성했다. 익산에 짓고 있는 신규 공장 건설 이후 매출 확대도 예상된다.
IPO 밸류를 제주맥주의 세 배 수준으로 설정한 자신감의 근거다. IR 과정에서 세븐브로이맥주는 실제로 제주맥주의 실적과 숫자 등을 비교하며 상대적 강점을 어필했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숫자에 미처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다. 세븐브로이맥주는 자체 브랜드 파워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제맥주 제조사다.
곰표 밀맥주는 대한제분의 소맥분 제품인 '곰표' 브랜드를 사용한다. 대한제분의 정체성이 더 짙을 수밖에 없다. 강서 맥주, 한강 맥주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지만 매출 규모나 인지도 면에서 확연히 떨어진다.
수제맥주 제조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고유의 브랜드 파워다. 애초에 수제맥주라는 것이 지역 양조장마다 지니고 있는 고유의 매력이 핵심이다. 다양한 색깔을 지닌 제조사가 꾸준히 나오는 것이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원동력이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몇몇 맥주업계 관계자들은 세븐브로이맥주의 IPO를 그리 긍정적으로 보지만은 않았다. 콜라보레이션에만 의존하는 브랜드 파워가 부재한 제조사가 난무하기 시작하면 건전한 시장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 골자다.
세븐브로이맥주가 국내 수제맥주 업체 가운데 괄목상대한 실적을 내고 있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다만 4000억~6000억원으로 책정한 밸류에는 숫자 뒤에 가려진 민낯이 있다는 점은 분명히 인지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한앤코, '안정권 진입' 라한호텔 회수 속도 높인다
- 도미누스, 건화 회수 절차 실시 검토
- [LP&Earning]'8.2% 수익률' 행정공제회, 환헤지 축소 전략 빛났다
- 태권보이의 PE 도전기
- [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