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삼성 차세대 리더십]한종희 따라 'VD사업부 출신' 승진자 9명점유율 1위, 스마트TV차별화 공로…'상무→부사장' 승진자 4명 배출
손현지 기자공개 2021-12-10 07:31:45
이 기사는 2021년 12월 09일 12: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의 통합 세트부문장에 낙점된 한종희 부회장(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을 필두로 VD사업부 임원들이 대거 승진 대열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TV 부동의 1위 타이틀을 수성하고 더 나아가 스마트TV의 차별화 전략을 강구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9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정기임원 인사 중 세트부문 부사장 승진자 40명 중 VD사업부의 고봉준 연구위원(VD사업부 서비스 소프트웨어랩장), 조명호 상무, 민종술 상무, 이재범 상무 등 4명의 상무급 임원이 포함됐다.
올해부터 인사제도 개편으로 부사장-상무 2단계로 단순화되면서 상무급 승진자들은 모두 부사장으로 승진하게 됐다. 신규로 상무로 선임된 임원도 총 5명에 달해 임원 승진자만 총 9명에 달한다.
VD사업부의 부사장 라인은 고승환·성일경 부사장 2인 체제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임원 직급이 올해부터 부사장-상무 2단계로 단순화되면서 전무급 임원 9명 모두 자동으로 부사장으로 올라갔다. 이번 상무급에서 배출된 승진자 4명까지 합쳐 부사장은 총 15명이 된다.
VD사업부 승진자가 올해 유독 많은 건 TV부문은 작년에 이어 호실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프리미엄 TV는 15년 연속 TV 점유율 세계 1위 쾌거를 달성하고 있다. 올해 역시 2위와 10%포인트(P) 이상 격차를 유지하며 선두가 확실시된 상황이다.
올초 출시한 초프리미엄 제품 '네오 QLED'도 시장성을 인정받았다. 주력 제품인 QLED TV 외에도 TV 플러스 등의 콘텐츠 차별화 등을 꾀하고 있다. 향후 선명한 화질을 앞세운 마이크로 LED TV와 차세대 TV인 QD 디스플레이 TV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신상필벌 원칙에 따라 한종희 VD사업부장도 올해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동시에 가전과 모바일을 아우르는 통합 세트부문장 임무까지 맡았다. VD 개발팀 소속이었던 민종술 상무(1968년생)와 조명호 상무(1969년생), VD지원팀 담당임원인 이재범 상무(1970년생) 역시 부사장 승진에 성공했다.

특히 고봉준 부사장은 스마트TV의 차별화 공로로 승진대열에 올랐다. 1972년생으로 VD사업부 내에선 '클라우드 AI'와 '보안컴퓨팅 기술' 전문가로 불린다. TV플러스와 게임밍허브(Gaming Hub)서비스의 소프트웨어(S/W)개발을 주도하며 소비자경험 향상을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입사 전 필립스, IBM왓슨, 스탠포드 AI센터 등에서 엔지니어로도 활약해왔다.
VD사업부의 상무급 승진자들도 대거 속출했다. 소재민 신임 상무(SET부문 VD사업부 선행개발그룹)는 영상인식과 처리분야 기술 전문가역량을 인정받았다. 그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영한 화면 내 컨텐츠 분석 툴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TV의 화질 자동 최적화 기능 개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 38세의 나이로 임원 대열에 올랐다.
그외에 VD사업부의 제품 소프트웨어 연구실장인 강은경 상무도 임원대열에 올랐다. 그는 TV 제품과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로 QLED, Neo QLED TV 상품화 TV 홈 UI개발 등 TV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정강일 상무(VD사업부 차세대기획그룹장)는 제품디자인과 UX경험을 겸비한 인물로 꼽힌다. 더세로, 더프레임, 더프리미어 등 혁신 제품 출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영진 마스터(SE 연구실장)은 TV, 모바일 제품 소프트웨어 최적화에 기여했다. 최유진 상무(VD사업부 UX팀장)도 재택근무와 홈스쿨링용 스마트모니터 UX개발 등 TV와 모바일간 연결 경험을 개선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SN, 롯데홈쇼핑 '벨리곰 NFT' 완판
- 인선이엔티, 100억 자사주 취득 결정
- '체외진단기업' 랩지노믹스, 루하PE에 경영권 매각
- 프리시젼바이오, 진단 플랫폼에 '디지털 치료제' 접목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SK그룹-SK증권 '여전한' 파트너십...KB·삼성 존재감↑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4대 금융지주채 '봇물'…교보증권, 1조 실적 확보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빅 이슈어' KT, NH·한투 파트너십 '끈끈'…신금투 '약진'
- '프리IPO' SK온, 한투PE 컨소 '이익 환원' 논리 통했다
- [기업형 VC 돋보기]엔베스터 든든한 조력자 김영진 미래엔 회장
- 메카로, 적극적 M&A로 반도체 부품사업 외형 확대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위메이드, IR 동분서주…'뉴욕·런던 넘어 중동으로'
- 넷마블, '글로벌 파이오니어' 꿈 정중동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엔씨소프트, 긴호흡으로 장기투자자 노린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SK매직, 재고 건전성 레벨업 '평가충당금 축소'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K-게임 눈뜬 투자자 잡아라…IR 역량 키우는 게임사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코웨이, 오차범위 10% 이내 수요예측 노하우 '빛'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LG전자, 원재료 평가충당금 줄이기 안간힘
- [Company Watch]LG전자, TV시장 위축 직격탄…아쉬운 영업이익률
- 'LCD 마지막 플레이어' LG디스플레이의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