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 Story]KT, 수요예측 경쟁률 '견조'…공들인 IR로 투심잡았다8200억 투자수요 확보, 모집금액 대비 4배…개별민평금리 수준
이지혜 기자공개 2022-01-24 07:20:30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1일 13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가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오버부킹을 달성했다. 국고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 상황이 나빴던 점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수요예측 경쟁률도 양호했다. 4배수가 넘었다.KT가 특히 이번에 투자자와 소통에 공을 들였다는 후문도 나온다. KT는 여느 AAA급 발행사와 달리 IR에 공을 들이는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올해는 공모채 시장의 상황이 심상찮았기에 IR을 다수 진행하며 기관투자자를 확보하는 데 적극 나섰다.
◇수요예측 경쟁률 4배수, 투자 수요 견조
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T가 공모채를 발행하기 위해 20일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수요예측 결과 모두 8200억원의 투자수요를 모았다. 모집금액 대비 수요예측 참여금액으로 산출한 경쟁률은 4.1배를 기록했다.
3년물에 4700억원, 5년물 2700억원, 10년물에 800억원의 주문을 받았다. 당초 KT는 공모채 모집금액으로 3년물 1200억원, 5년물 500억원, 10년물 300억원을 설정했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수요예측 당일 국고채 금리가 오르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컸던 점을 고려하면 선방한 편”이라며 “시장상황이 나쁜데도 KT라서 개별민평금리 수준에 금리 수요를 모을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20일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직전 거래일보다 4.6bp나 올랐다. 국고채 금리는 17일 2.148bp까지 오르고 숨고르기에 들어갔다가 다시 오르는 양상을 보였다. 국내 기준금리가 오르는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정책,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이슈가 불거지며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탓이다.
이에 따라 5년물 이상 장기물을 중심으로 공모채 시장의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당초 7년물이나 10년물을 고려하던 발행사들도 최대한 만기를 짧게 설정하는 식으로 다시 조달전략을 짜는 것으로 전해진다.
더군다나 KT는 AAA급 신용도를 지닌 기업 중에서도 투자자 선호가 많다. 개별민평금리가 AAA 회사채의 등급민평금리보다도 낮다. 금리매력이 크게 부각되기 어려운 상황인데도 선전했다는 의미다.
투자자군도 다양했다. 자산운용사는 물론 보험사, 은행, 연기금 등 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했다.
◇시장 악화에 투자자와 소통 강화
KT가 이번 공모채 수요예측에 특히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또다른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연초인데도 시장상황이 불안정하다보니 KT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IR을 다수 진행했다”며 “KT는 투자자와 소통을 강화하는 대표적 발행사”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1~2월에는 투자자들이 한 해 투자실탄을 마련하면서 회사채 스프레드가 축소되기 마련이다. 이를 가리켜 ‘연초효과’라고 부른다. 그러나 올 들어서는 이런 연초효과가 크게 약화했다.
KT는 시장상황에 대비해 IR을 20차례 이상 진행했다. 예년보다 많이 진행한 편이다. AAA급 신용도를 지닌 초우량 발행사는 IR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신용도가 워낙 우량하고 안정성이 좋아 기관 투자자의 선호를 한몸에 받아서다.
그러나 KT는 원화 공모채를 주요 조달수단으로 삼는 만큼 투자자와 소통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와 신뢰를 구축해 시장상황이 나빠지더라도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서다.
KT는 이번 공모채의 대표주관사로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NH투자증권을 기용했다. 이미 수 차례 공모채를 발행하며 합을 맞춘 적이 있는 증권사들이다. KT는 공모채 발행규모가 큰 만큼 대형사를 중심으로 대표주관사를 다수 기용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번 KT는 27일 공모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최대 4000억원으로 증액 발행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조달자금은 대리점 유지관리 수수료 등 운영재원과 외화 차입금을 차환하는 데 쓸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OOP, '규제·업황·비용' 탓 목표주가 '뚝'
- 두비덥, 보컬 커스터마이징 특허 '완료'…K팝 팬덤 정조준
- [thebell interview/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의 이머시브 콘텐츠 '관객이 주인공 되는 시대'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B2C 진출' 바우어랩, 300억 밸류 시리즈B 도전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 이머시브 콘텐츠로 엔터산업 '새 지평'
- [강소 콘텐츠사 톺아보기]두비덥, 사업 개시 3년 만에 흑자 '공공 도서관 뚫었다'
- 하이브, 바이너리코리아 정리…게임·AI오디오 '집중'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SLL중앙 기대감' 콘텐트리중앙 CB 발행 순풍
- 카카오엔터, 스토리사업 대통합…신임 부문장에 박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