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 ESG우등생의 '리보틀 캠페인' KCGS 환경경영 평정 고려 '넷제로' 선언, 5년 연속 DJSI월드 지수 편입 쾌거
손현지 기자공개 2022-03-17 15:06:03
이 기사는 2022년 03월 17일 15:0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이프 솔루션 기업 코웨이가 친환경 경영 일환으로 '리보틀 캠페인'을 전개한다. 작년 글로벌 ESG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넷제로(탄소중립)를 선언한 데 이어 올해는 일상생활에서 실천가능한 다양한 환경활동을 모색하고 있는 모습이다.17일 코웨이는 이달 중순부터 텀블러를 수거해 재활용하는 '리보틀(Re:Bottle)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구로구에 위치한 코웨이 신사옥 G타워 내 브랜드 체험공간 '코웨이 갤러리'에서 진행 중이다.
리보틀 캠페인이란 사용하지 않는 물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동이다. 코웨이 갤러리에 사용하지 않은 물병을 반납하면, 새 물병을 1만원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코웨이는 수거한 물병들을 깨끗하게 세척해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남은 물병은 비영리 공익 재단 아름다운 가게를 통해 지역사회에 기부한다.
코웨이는 그동안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작년에는 오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으로 줄이겠다는 넷제로(탄소중립)을 선언했다. 2010년 수립한 목표가 지난해 종료됨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기후변화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목표를 수립한 것이다.

코웨이의 ESG경영 행보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020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5년 연속 DJSI월드 지수에 선정됐다. 내구재 부문에서 DJSI월드 지수에 편입된건 코웨이가 유일하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환경(E) 부문 평가에서도 줄곧 A등급을 받고 있다.
코웨이는 2006년 환경경영을 선포했다. 2008년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탄소성적표지 인증제도(탄소배출량 인증)에 처음 참여한 이후 저탄소제품 인증을 넘어 2015년 1월 국내 정수기 최초로 탄소중립제품 인증을 받은 바 있다. 2016년에는 국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고 2017년 환경부로부터 국내 정수기 최초로 물발자국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코웨이는 "비즈니스 과정에서 환경과 사람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환경경영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통해 기업과 환경을 모두 만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SN, 롯데홈쇼핑 '벨리곰 NFT' 완판
- 인선이엔티, 100억 자사주 취득 결정
- '체외진단기업' 랩지노믹스, 루하PE에 경영권 매각
- 프리시젼바이오, 진단 플랫폼에 '디지털 치료제' 접목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SK그룹-SK증권 '여전한' 파트너십...KB·삼성 존재감↑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4대 금융지주채 '봇물'…교보증권, 1조 실적 확보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빅 이슈어' KT, NH·한투 파트너십 '끈끈'…신금투 '약진'
- '프리IPO' SK온, 한투PE 컨소 '이익 환원' 논리 통했다
- [기업형 VC 돋보기]엔베스터 든든한 조력자 김영진 미래엔 회장
- 메카로, 적극적 M&A로 반도체 부품사업 외형 확대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위메이드, IR 동분서주…'뉴욕·런던 넘어 중동으로'
- 넷마블, '글로벌 파이오니어' 꿈 정중동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엔씨소프트, 긴호흡으로 장기투자자 노린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SK매직, 재고 건전성 레벨업 '평가충당금 축소'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K-게임 눈뜬 투자자 잡아라…IR 역량 키우는 게임사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코웨이, 오차범위 10% 이내 수요예측 노하우 '빛'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LG전자, 원재료 평가충당금 줄이기 안간힘
- [Company Watch]LG전자, TV시장 위축 직격탄…아쉬운 영업이익률
- 'LCD 마지막 플레이어' LG디스플레이의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