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P엔터, 눈에 띄는 이익률…'하이브·SM·YG' 압도 [Company Watch]엔터 4사 중 유일, 이익률 20%대…매출 4위지만 시총은 2위
김슬기 기자공개 2022-05-23 10:26:12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0일 10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1분기 JYP엔터테인먼트가 눈에 띄는 성적을 냈다. JYP엔터는 국내 주요 엔터 4사 중 외형으로는 가장 규모가 작지만 영업이익률 측면에서는 30%에 육박하는 등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하이브나 SM엔터테인먼트의 영업이익률은 10%대였고 YG엔터는 8%대다.JYP엔터는 올해 1분기 타사 대비 발빠르게 트와이스의 해외 오프라인 투어를 진행하면서 외형 성장폭이 가팔랐다. 2월 데뷔한 신인 걸그룹 엔믹스(NMIXX)와 스트레이키즈의 앨범 발매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오프라인 공연 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와 일회성 비용 등으로 매출원가나 판매비 및 관리비도 확대됐다.
◇ JYP엔터, 외형 작지만 알짜…시가총액, SM엔터 제쳤다
JYP엔터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78억원, 영업이익 19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110%, 39% 늘어난 것이다. 영업이익률은 28.3%를 기록했다. 1년 전 영업이익률은 42.6%다. 매출은 가파르게 성장했으나 이익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진 탓이다.

앞선 3사가 모두 1년전과 비교했을 때 매출 및 이익 성장이 이뤄졌다면 YG엔터의 경우 매출과 이익이 모두 뒷걸음질쳤다. YG엔터의 1분기 매출은 755억원, 영업이익 61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2.2%, 36% 감소했다. 이익률도 9.8%에서 8.1%로 낮아졌다. JYP엔터가 YG엔터에 비해 매출이 적지만 이익 규모는 이미 추월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은 시장에서도 여실히 반영되고 있다. 올 들어 미국 금리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겹치면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채권 금리 상승으로 시장 유동성이 묶이면서 주식시장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코스피, 코스닥을 막론하고 시장 급락세가 이어지지만 JYP엔터만 연초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19일 종가 기준으로 JYP엔터 시가총액은 2조원에 육박, 이미 SM엔터(1조6689억원)와 YG엔터(1조95억원)을 넘어섰다. 같은 날 하이브 시총은 9조357억원이었다. 연초와 비교했을 때 JYP엔터의 주가는 7.7% 올랐고 하이브, SM엔터, YG엔터는 각각 37.7%, 4.6%, 2.8% 하락했다.

◇ 스트레이키즈·엔믹스 앨범 출시에 트와이스 북미 투어 영향
JYP엔터가 올 1분기 보여준 성과는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었다. 시장에서는 실적이 나오기 전까지 매출 599억원, 영업이익 194억원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매출은 80억원 가량 차이가 났고 영업이익은 전망치와 부합하는 수준이었다. 이는 음반과 매니지먼트 사업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매출 실적을 세부적으로 보면 음반·음원 매출이 1분기 33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4% 증가했다. 이는 핵심 아이돌인 스트레이키즈와 올 초 데뷔한 엔믹스 영향이 컸다. 스트레이키즈가 지난 3월 발매한 미니 6집 '오디너리(ODDINARY)'는 1분기에만 150만장을 팔았고 지난 2월 데뷔한 엔믹스는 데뷔 싱글 'AD MARE'로 50만장을 팔았다.
매니지먼트사업 내 기타 사업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 1분기 213억원으로 1년전 대비 61%(81억원) 늘었다. 기타 사업에는 MD가 포함된다. 콘서트 및 출연료 매출 역시 각각 33억원, 46억원으로 1년전과 비교해 939%(30억원), 703%(40억원) 증가했다. 콘서트는 트와이스의 북미 오프라인 콘서트가 출연료는 스트레이키즈 팬미팅 영향이 있었다.
타사 대비 JYP엔터가 오프라인 활동을 보다 빨리 재개한 측면이 있었다. 하이브는 방탄소년단(BTS)의 서울 콘서트와 세븐틴 팬미팅 등을 시작했지만 시장이 평가한 공연매출 기대치가 높았다. SM엔터는 주요 아티스트들의 앨범은 다수 출시했으나 오프라인 공연이나 행사는 없었다. YG엔터의 경우 트레저 앨범 발매 외에는 활동이 없었다.
대신 1년전 매출원가가 123억원에서 364억원으로 223% 늘었고 판매비와관리비 역시 같은 기간 73억원에서 122억원으로 68% 증가했다. 이는 해외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이 증가한데다가 앨범 유통 및 미국 내 앨범, MD 유통 운송 비용 증가로 인해 원가가 상승한 측면이 있다. 임직원 상여 등 일회성 비용 11억원도 발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릴슨PE, 현대위아 공작기계사업부 주식매매계약 체결
- 김광일 MBK 부회장 "금융채권 사재출연 범주 아냐"
- 오비맥주 카스, 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 예고
- “해외 브랜드 추가 인수 막바지, 사계절 포트폴리오 강화”
- [상폐 기로 에스유앤피의 절치부심]수년간 쌓아온 신뢰도 확고…"좀비기업 아니다" 호소
- [상폐 기로 에스유앤피의 절치부심]150억 매출 달성 자신감, 반도체 전문 투자사 도약 목표
- [i-point]씨유메디칼, 작년 영업익 78억 달성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매각 난항 겪는 다보링크, 관리종목 지정 우려
- [유동성 풍향계]제일기획, 현금창출 확대에 보유현금 '역대 최고'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농협 입김' 남해화학 이사회, '독립성·다양성' 과제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에너지 IPO]'메이저' 미래에셋증권, RFP 소외된 사연은
- [IPO 모니터]'조 단위 대어' 리브스메드, 2분기 예심청구 가닥
- [이사회 모니터]네이버 이윤숙 부문장, 카페24 기타비상무이사 연임
- [한화에너지 IPO]6년만에 그룹 딜, 한국증권 주관사 '사실상 내정' 부각
- [증권사 밸류업 중간점검]미래에셋 '돋보인 주주환원', 시총도 견인
- [House Index]'실적 반등' IBK증권, 3년만에 배당 상향 조정
- [IB 풍향계]조달 양극화 신호탄 "MBK식 꼬리자르기 피하자"
- LS그룹 입김 세진다…LS증권 오너 3세 구동휘 참여
- 홈플러스 사태로 본 메리츠 시그널
- [IB 풍향계]키움증권, 이유있는 DCM 약진…'톱4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