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C 2022]'개발자' 송치형이 바라본 블록체인 발전 방향은5년째 UDC 통해 개발자들과 소통…트렌드에 맞춰 서비스 고도화한다
부산=노윤주 기자공개 2022-09-22 16:27:28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2일 14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나무가 개최하는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가 5주년을 맞았다. 송치형 회장은 올해도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개발자 출신인 송 회장은 기술을 통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5년간 단 한 번도 빠짐없이 UDC 무대에 섰다.그는 모바일 사용이 자연스러운 'MZ세대' 처럼 블록체인 서비스가 익숙한 '블록체인 세대'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두나무도 블록체인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향후 방침을 공유했다.
◇블록체인 시장은 '시리즈C 마친 스타트업'…서비스 만들고 있다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냉각기 일명 '크립토윈터'에 접어들었다. 비트코인 가격은 8000만원에서 2000만원 중반으로 하락했고 전체 시장 시가총액도 큰 타격을 입었다. 송치형 회장은 처음 UDC를 개최했던 2018년을 회상했다. 그는 "당시에도 2017년 고점 대비 가상자산 가격이 크게 하락했고 여론은 지금보다도 좋지 않았다"며 "그러나 긴 겨울을 끝내고 활황을 맞이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시장을 스타트업에 비유하기도 했다. 지난해 많은 투자금액이 몰린 만큼 시장을 바라보는 눈도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송 회장은 "시리즈B, C 라운드를 마친 상황"이라고 비유하면서 "블록체인의 발목을 잡던 문제들이 서서히 해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이뤄진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레이어2 등이 대표 예시다.
◇블록체인 세대 탄생 맞춰 서비스 고도화
두나무는 블록체인 업계 플레이어 중 하나로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업비트 등 주력 서비스를 지속 개선하고 신규 서비스 확장도 준비 중이다. 우선 업비트는 규제 환경에 맞춰 준법감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만 전년동기 3배 많은 수준으로 인력을 충원했다.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도 개소해 투자자보호 측면도 강화 중이다.
지난해 10월 공개한 '업비트 NFT'도 업데이트를 앞두고 있다. 기존에는 자회사인 람다256이 만든 루니버스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해 왔다. 향후 전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이더리움 기반 NFT도 도입하는 등 확대를 기획 중이다.
하이브와 미국에서 설립한 합작법인 '레벨스'도 웹3 사업을 준비 중이다. NFT를 활용한 플랫폼 사업이 유력하다. 레벨스는 송 회장이 직접 진두지휘하는 사업이다.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하이브가 보유한 해외 아티스트 IP를 활용할 예정이다.
송 회장은 "블록체인은 거대 OTT, SNS 시장 경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며 "SNS보다 전자지갑(월렛)이 익숙하고, 가상자산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블록체인 세대'를 맞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