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첨단소재 악재' 베어링PEA, '애큐온·EQT'에 불똥 뛰나 카운터파트 리스크 급부상, 원매자 찾기·대주주 평판훼손 '부담 요소'
김경태 기자공개 2022-12-13 08:12:58
이 기사는 2022년 12월 12일 15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베어링PEA가 PI첨단소재 인수를 전격 철회하면서 향후 국내 행보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베어링PEA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경영권을 보유한 포트폴리오 자산으로는 애큐온캐피탈이 있다.이번에 카운터파트 리스크(Counterpart Risk)가 불거지면서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또 베어링PEA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EQT파트너스의 행보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일한 바이아웃 자산 '애큐온캐피탈'
현재 베어링PEA가 국내에서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투자 자산은 애큐온캐피탈이 유일하다. 베어링PEA는 7호펀드(The Baring Asia Private Equity Fund Ⅶ, L.P.)를 통해 애큐온캐피탈을 지배하고 있다. 애큐온캐피탈은 애큐온저축은행의 지분 100%를 갖고 있다.
베어링PEA는 2019년 8월 약 6000억원에 JC플라워가 보유한 애큐온캐피탈과 애큐온저축은행 지분을 사들였다. 당시 애큐온캐피탈은 공개경쟁입찰이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매물로 나올 가능성을 인지한 김한철 베어링PEA 한국 대표가 기존 주인이던 JC플라워 고위경영진을 직접 찾아가는 공을 들여 거래를 성사시켰다.
베어링PEA 체제에서 애큐온캐피탈의 실적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작년 연결 영업수익은 6758억원으로 전년보다 18.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46억원, 당기순이익은 1350억원으로 각각 40%, 31.3% 늘었다. 올 들어서도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5989억원, 영업이익은 1499억원이다. 전년보다 각각 21.4%, 16.2% 신장했다.

◇애큐온캐피탈, 엑시트 시기 임박…대주주 EQT파트너스 영향 '주목'
베어링PEA는 올 상반기 애큐온캐피탈 인수금융 차환(리파이낸싱)을 단행했다.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가 주선사를 맡았다. 금액은 총 6740억원 규모로 인수 당시보다 2배 이상 늘렸다. 리캡(자본재조정)을 통해 투자 원금 대부분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IB업계에서는 베어링PEA가 조만간 애큐온캐피탈 매각에 착수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앞서 2020년 포트폴리오 자산이던 로젠택배에 대한 리캡과 매각을 동시에 한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PI첨단소재 딜을 계기로 금융권에서 평판 훼손이 본격화하면서 애큐온캐피탈 매각 작업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큐온캐피탈이 견조한 성과를 거두는 만큼 잠재적 투자자들이 적극 검토할만 하다. 하지만 원매자 입장에서는 베어링PEA가 PI첨단소재 딜에서 보인 행보를 되풀이할 지 모른다는 우려를 안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고금리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베어링PEA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IB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진행한 애큐온캐피탈 리파이낸싱은 고정과 변동 이자율로 트렌치가 구분되어 있다. 현재 고정 선순위 이자율은 5% 후반대, 변동은 7% 후반대다. 내년까지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고 매각 작업이 지연될수록 베어링PEA의 펀드 내부수익률(IRR)은 낮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일각에서는 대주주 EQT파트너스에도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거론된다. EQT파트너스는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다. 올 들어 베어링PEA를 인수해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EQT파트너스는 베어링PEA와는 별개로 국내에 법인을 설립하고 독자적인 딜을 추진하고 있다. PI첨단소재 딜 역시 기존에 담당했던 베어링PEA 인력들이 주도했고 EQT파트너스는 거의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한 PEF 운용사에 대한 평판 훼손이 불거지고 있어 EQT파트너스의 관리 역량도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금호타이어, 화재 광주공장 '재건보다 이전' 무게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
- 삼성 하만, 마시모 오디오 인수 'B2C·B2B' 대폭 강화
- 삼성전자 하만, 마시모 구조조정 파고든 M&A
- 삼성전자 미국법인, '맹활약' 사내 로비스트 키맨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