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네이버, 스타트업 간접투자 회수 실적은상반기 신규 출자 1604억 집행…종속·관계기업 펀드 배당수익은 1191억
김형락 기자공개 2023-01-03 07:51:33
[편집자주]
이제 투자를 빼놓고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역할을 말할 수 없게 됐다. 실제 대기업 다수의 CFO가 전략 수립과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CFO가 기업가치를 수치로 측정하는 업무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상할 게 없다. THE CFO가 CFO의 또 다른 성과지표로 떠오른 투자 포트폴리오 현황과 변화를 기업별로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12월 29일 08시0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는 스타트업으로 직접투자 못지않게 간접투자를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투자 지역은 광법위하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펀드들이 포트폴리오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단편적인 투자 수익보다는 기존 네이버 사업들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유망 기업 발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부 펀드에서는 배당 수익도 거두고 있다.네이버는 타법인 출자액(이하 별도 기준)을 늘리면서 펀드 투자 규모도 키웠다. 계열사 현금출자, 콘텐츠·커머스 영업 관련 지분 투자와 함께 국내외 스타트업 간접투자에도 돈을 풀고 있다. 올 상반기 타법인 신규 출자액(4038억원) 중 39%(1589억원)를 스타트업 간접투자에 썼다.
간접투자는 콘텐츠·커머스 관련 직접투자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네이버는 2020년과 지난해 스타트업 간접투자에 각각 3504억원, 5237억원을 집행했다. 2019년 3412억원이었던 네이버 전체 타법인 출자액(증감치)은 2020년과 지난해 2조원대로 뛰었다.

해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펀드가 주를 이룬다. 올해 간접투자 신규 출자액을 투자처별로 구분하면 해외 간접투자는 74%(1180억원), 국내 간접투자는 26%(425억원)다. 투자 지역은 가까운 아시아부터 북미, 유럽까지 다양하다. 각 사업의 글로벌 성장 속도를 높이는 체계 마련은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내 건 경영 목표다. 펀드 투자에도 사업 전략 방향성이 녹아든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국내외 스타트업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를 병행하며 투자처를 넓히는 효과를 누리고 있다. 특히 펀드를 통한 해외 간접투자는 여러 투자 건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기회로 삼고 있다. 투자처 발굴과 수익 관리를 운용사에게 맡기고, 네이버는 펀드가 선별한 글로벌 초기 기업들의 성과를 보고 받는 형태다.
주요 투자 파트너는 미래에셋그룹과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다. 네이버는 2016년 11월 소프트뱅크벤처스와 500억원 규모로 콘텐츠 분야에 투자하는 신규 펀드(에스비넥스트미디어이노베이션펀드)를 조성했다. 그해 12월 미래에셋그룹과는 1000억원 규모 ‘미래에셋-네이버 신성장투자조합 제1호’를 결성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로봇, 가상·증강현실(AR·VR), 자율주행, 헬스케어, 스마트홈 등 성장성이 높은 분야의 업체를 발굴·육성하는 펀드다.
아시아 지역에서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펀드도 미래에셋그룹과 만들었다. 2018년 3월 네이버와 미래에셋은 50%씩 출자해 2000억원 규모 펀드(MIRAE ASSET-NAVER ASIA GROWTH INVESTMENT, 미래에셋-네이버 Asia Growth Fund)를 결성했다.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이커머스, 인터넷 플랫폼, 헬스케어, 소비재, 유통, 물류 분야에 투자하는 펀드다.

2020년부터 펀드에서 잡히는 배당액도 커졌다. 현금출자·회수 내역 등이 공개되는 종속기업·관계기업으로 묶인 펀드를 기준으로 2018~2019년 100억~150억원이었던 배당 수령액은 2020년 969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펀드에서 발생한 배당은 3646억원이다. 올 상반기 펀드에서 거둔 배당금은 1191억원이다.
개별 펀드 중에서는 '미래에셋맵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62호' 배당금 수령액이 가장 크다. 네이버와 10년간 사무실 리스계약을 체결한 펀드다. 네이버는 해당 펀드에서 2019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배당금으로 1627억원을 받았다.
같은 기간 △중국 스타트업에 간접투자하는 펀드(China Ventures Fund I)에서 1517억원 △미래에셋과 출자한 펀드(Mirae Asset-Naver Asia Growth Investment, 미래에셋-네이버 Asia Growth Fund)에서 1248억원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조성한 펀드(에스비넥스트미디어이노베이션펀드)에서도 619억원을 배당금으로 받았다.

네이버 관계자는 "스타트업 간접투자는 재무적 투자보다 전략적 투자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며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 [i-point]엔에스이엔엠, FMC 만찬회서 '어블룸' 글로벌 비전 선포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사외이사 장기근속 …사유화냐 vs 전문성이냐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70세' 획일 적용 맞나…베테랑 모시는 미국 은행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은행]미국 은행 사외이사 비율 90% 육박
- [thebell interview]"삼성 준감위, 이사회 중심 경영 함께 고민"
- [thebell interview]"외국인 주주 인식을 바꾼 건 사외이사 IR"
- [자사주 리포트]미래에셋생명, 지급 여력 비율 하락 대비 보완재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자사주 리포트]크래프톤, 올해 최대 처분 물량은 0.2%
- [자사주 리포트]DB손해보험, 매각 계획 접었다…지속 보유도 염두
- 증권신고서 정정의 나비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