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 수출 효자 '미주지역' 서남아시아 제치고 첫 '톱3' 기록…아시아 시장 위축 속 북미 수요 개선 효과
김동현 기자공개 2023-05-08 07:13:37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3일 08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호석유화학의 합성고무 수출 가운데 미주 지역이 처음으로 '톱3' 안에 드는 성과를 기록했다. 지역별 합성고무 수출 비중을 지금과 같이 분류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처음이다.미주 지역 수출 비중이 올라갈 수 있었던 데는 아시아 시장 위축과 북미 수요 개선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주 시장이 아직 뚜렷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중국을 대체할 지역으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합성고무 수출 비중, 아시아 3개 지역 고착화
2일 금호석유화학 1분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합성고무 수출 가운데 미주 지역이 차지한 비중은 17%였다. 지난해 말 10% 수준이던 미주 비중이 7%포인트(p) 올라갔다. 아울러 미주 수출은 서남아시아(13%)를 제치고 처음으로 상위 3번째 수출 지역에 들어갔다.
금호석유화학은 2006년 그룹 IR 자료부터 합성고무와 합성수지 사업의 지역별 수출 비중을 공개했다. 양대 사업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동아시아(중국 포함)부터 아프리카까지 총 7개 지역으로 구분했다.
다만 2016년부터 매출 비중이 크지 않은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을 기타로 묶고 아시아 지역을 중국, 동남아, 서남아 등 3개로 세분화해 분류하기 시작했다. 당시 합성고무 수출 중 동남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과 서남아 등이 각 24%로 뒤를 이었다.
이러한 아시아 3개 지역은 합성고무 수출 상위 3대 시장으로 굳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동남아의 경우 금호석유화학이 2008년 합성고무 신사업으로 의료용 고무장갑 소재인 NB라텍스를 점찍을 당시 그 핵심 시장으로 선정한 지역이고, 중국은 오랜 기간 회사의 최대 수출지로 자리매김한 곳이다.
2010년대 들어 NB라텍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동남아 수출 비중은 50%선에 육박했고 코로나19로 의료용 고무장갑 수요가 폭발하기 시작한 2020년에는 그 수치가 64%까지 치솟았다. 이듬해 동남아 수출 비중은 50%로 다시 줄긴 했으나 지속적인 라텍스 수요로 당시 합성고무 매출(3조521억원) 자체는 전년 대비 66%나 급증했다.
◇기대 못미친 중국 리오프닝, 미주 비중 확대
그러나 엔데믹 전환과 함께 NB라텍스 시황이 악화하며 금호석유화학의 합성고무 실적도 한풀 꺾인 상태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봉쇄 정책과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2022년 연간 합성고무 매출은 최대 실적을 기록한 2021년보다 16% 줄었다.
올해 1분기 합성고무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7%가량 감소한 5764억원을 기록하며 좀처럼 올라오지 않는 아시아 수요를 실감하게 했다. 전방산업의 주요 지표라 할 수 있는 중국시장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도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다만 아시아 지역의 빈자리를 미주 지역이 일부 메꾸며 이 지역 수출 비중이 17%까지 올라간 점은 위안으로 삼을 만하다. 그동안 미주 지역은 아시아, 유럽과 함께 3대 핵심 전략지역으로 꼽혔지만 아시아 시장의 존재감이 워낙 커 크게 주목받지 못하던 상황이다.
이 가운데 비교적 빠르게 코로나19 봉쇄 상황에서 벗어난 북미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점은 향후 현지 시장 확대를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다. 합성고무 매출 5764억원을 기준으로 올해 1분기 미주 지역 수출액을 추산하면 약 800억원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현재 금호석유화학은 자회사 금호폴리켐을 통해 기능성합성고무(EPDM) 시장에도 뛰어든 상황이다. EPDM은 자동차 문 고무 패킹, 범퍼 등 자동차 소재로 활용되는데 향후 미국·유럽 등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전방산업 확대에 따라 모회사의 글로벌 수출 비중 다각화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정명령 누적' 팰콘제이, 결국 VC 라이선스 반납
- [VC 투자기업]'시총 1조' 돌파한 달바글로벌, 투자VC 커지는 기대감
- [VC 투자기업]야나두, 손익개선 본격화…선제적 액면분할 단행
- [스타트업 M&A 분석]모노리스, '10년 인연' 대성파인텍과 합병…유종의 미
- 리테일 등장한 '퓨리오사AI' 신주…VVIP 전용센터 초점
- '뇌질환 신약개발' 에임드바이오, DS운용 꽂힌 이유는
- 트러스톤 ESG 2호, 캐피탈콜로 200억 추가 확보
- 한국증권 인하우스, 금리인하기 레포펀드 ‘몰아치기’
- 비상장 명가 DS운용, '에임드바이오' 투자한다
- 이지스운용 멀티에셋파트, '피스피스스튜디오' 투자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오션은 지금]밸류체인 확대에 몸집 불리기, 중심에 선 'USA홀딩스'
- [한화오션은 지금]매출 균형 찾는 포트폴리오, 해양·E&I에 달린 수익성 회복
- [한화오션은 지금]한화필리 그룹 보증액 10억달러 근접...생산능력 2배 키운다
- [한화오션은 지금]특수선 뜨자 시총도 '들썩'...그룹 재편 '중심으로'
- 삼성SDI, '현저한' 투자축소...속도조절은 지역별 상이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KAI 밸류업 점검]지배구조 준수율 70% '재진입' 목표, 중점개선 항목 '주주'
- 운영자금 급한 포스코필바라, 자금조달 상·하반기 분산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KAI 밸류업 점검]'별도·최소' 배당성향 설정, 주주환원 다양화 가능성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