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카카오, 해법은]'사법리스크' 고조, SM엔터 포기 가능성은 낮아①배재현 CIO 구속 이어 법인도 검찰에 넘겨, '이례적' 압박수위
이지혜 기자공개 2023-10-31 13:10:32
[편집자주]
카카오가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김범수 창업자는 물론 핵심 경영진과 그룹 계열사까지 사법리스크에 휘말렸다. 그러나 사업을 멈출 수도, 잠시 쉴 수도 없다. 인공지능(AI)은 물론 헬스케어, 엔터사업까지 당장 신성장동력을 가동하지 않으면 고사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카카오가 국내 최고의 플랫폼 기업으로서 저력을 입증할 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카카오는 어떤 해법을 내놓을까. 카카오의 속사정과 위기를 극복할 활로를 조명했다.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7일 07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의 사법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혐의로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 투자 총괄 대표(CIO)를 구속한 데 이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홍은택 대표이사 등을 정면으로 겨누고 있다. 여기에 더해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넘겼다.그동안 카카오가 크고 작은 사법리스크를 겪어왔지만 이 정도의 위기를 겪는 것은 처음이다. 금감원의 압박수준이 이례적이라는 평가마저 나온다.
그러나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을 포기하는 극단적 상황으로 몰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금감원은 해당 주식을 처분하라고 명령을 내릴 권한이 없다. 또 시세조종 혐의를 입증하거나 최종 판결이 나오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소요된다.
◇금감원 ‘칼 끝’에 선 카카오, 특사경 사상 첫 대기업 정조준
26일 금감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배 CIO와 카카오 투자전략실장,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전략투자부문장 등 3명을 검찰에 송치했다.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법인도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다는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넘겼다.
특사경은 올 상반기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인수전 당시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고가 매수 주문, 종가 관여 주문 등으로 시세를 조종했다고 판단했다. 또 금융당국에 주식 대량 보유 보고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자본시장법의 핵심 제도인 불공정거래 규제, 공개매수 제도, 대량 보유 보고의무(5% 룰) 등을 무력화했다고 지적했다.

특사경은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법무법인 등을 통해 범행수법이나 은폐 방법을 자문받았다"며 "이런 위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내부통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 지분 인수건을 놓고 법무법인 율촌에서 법률자문을 받았다. 이에 따라 율촌도 8월 압수수색을 피해가지 못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사진)은 24일 '금융의 날' 기념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문제가 된 건(카카오)은 법인에 대한 처벌 여부 등을 적극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해당 건을 이번 주에 검찰에 송치하면서 입장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런 발언이 현실화한 셈이다.
이 원장은 카카오 수사에 대해 강력한 자신감을 보여왔다. 7월 중순에도 카카오의 시세조종 수사에 대한 진척상황을 묻자 “실체 규명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 3월 "불공정 거래에 대한 무관용 원칙에 비춰 도저히 용납할 수 없으며 위법을 통한 경제적 이익 취득이 성사될 수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하며 최악의 경우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인수에도 막겠다는 취지의 발언도 했다.
카카오를 향한 금감원의 압박은 이례적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 특사경이 4년 전 출범한 이래 카카오 규모의 대기업을 이 정도 수위로 수사한 것을 처음이라서다.
특사경은 자본시장 불공정 거래 수사에 특화한 조직으로 검찰 지휘 아래 경찰같은 수사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한일시멘트 관계자의 시세 조종 혐의 사건을 제외하면 주로 금융사만 상대해왔다. 특성상 재계에서 순위권에 드는 기업을 수사한 경험도 적은 편이다.
변화가 나타난 건 이 원장이 취임하면서부터다. 이 원장은 검찰에 있을 때부터 국정농단 사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등 대형 사건을 수사한 경험이 많다. 이런 경력이 카카오를 정조준하는 데에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 SM엔터 인수 무산 가능성 ‘낮아’…카뱅으로 불뚱 튈 수도
금감원이 카카오를 강력하게 압박하고 있지만 실제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인수가 무산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업계는 바라본다. 설사 금감원이 혐의 입증에 성공해 카카오의 유죄가 확정되더라도 금융당국이 카카오에게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처분하라는 명령을 내릴 권한은 없다.

재판 결과가 나오기까지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 등 금융당국이 시세조종 혐의 등 사건을 검찰에 넘기기까지는 통상 1년이 걸린다. 카카오의 경우에는 올 3월부터 시작해 약 8개월이 걸렸다. 또 검찰수사부터 재판을 거쳐 판결이 확정되기까지 2~3년이 소요된다.
실제로 과거 금감원 특사경이 수사했던 한일시멘트의 재판 결과도 아직 나오지 않았다. 금감원 특사경이 한일시멘트를 시세조종 혐의로 압수수색한 건 2020년의 일이다.
더욱이 시세조종 등 주가조작으로 과징금을 물리거나 부당이득을 환수하기도 쉽지 않다. 국회에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통과돼 시세조종 등으로 얻은 부당이득의 2배를 환수할 수 있도록 징계의 수위는 높아졌지만 법적으로 부당이득 산정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때다. 공정위는 현재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혐의 수사 등을 놓고 기업결합심사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카카오의 유죄가 확정된다면 카카오뱅크로 불똥이 튈 가능성이 있다. 카카오가 벌금형 이상의 처벌을 받게 된다면 금융당국이 ‘대주주 적격성’을 충족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카카오는 카카오뱅크의 대주주 자격을 잃어 6개월 안에 보유지분 가운데 10% 초과분을 팔아야 한다.
다시 말해 카카오가 대주주 자격을 다른 곳으로 넘겨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경영진이 처벌을 받게 된다면 금감원의 카카오뱅크 대주주 충족 명령을 피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 [i-point]엔에스이엔엠, FMC 만찬회서 '어블룸' 글로벌 비전 선포
- [i-point]케이쓰리아이, 피지컬 AI 본격화
- [i-point]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설명회 개최
- [i-point]크라우드웍스, 카이스트 'AI 기술설명회'서 최신 기술 동향 소개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1분기 매출 1조6366억 '어닝 서프라이즈'
- [네패스그룹은 지금] 아픈 손가락 FO-PLP 중단, 대여금 회수 '미지수'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OOP, '규제·업황·비용' 탓 목표주가 '뚝'
- 두비덥, 보컬 커스터마이징 특허 '완료'…K팝 팬덤 정조준
- [thebell interview/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의 이머시브 콘텐츠 '관객이 주인공 되는 시대'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B2C 진출' 바우어랩, 300억 밸류 시리즈B 도전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 이머시브 콘텐츠로 엔터산업 '새 지평'
- [강소 콘텐츠사 톺아보기]두비덥, 사업 개시 3년 만에 흑자 '공공 도서관 뚫었다'
- 하이브, 바이너리코리아 정리…게임·AI오디오 '집중'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