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 싱가포르 운용사 이끌 최영욱 대표는 누구? [금융 人사이드]대우증권·마이다스에셋 출신 현지 운용역…김태오 회장 '전문가 CEO' 인사 원칙 부합
최필우 기자공개 2024-02-05 09:34:13
이 기사는 2024년 02월 01일 14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GB금융이 싱가포르 자산운용사 설립 본인가를 받아 내면서 현지 법인을 이끌 CEO에게도 관심이 모인다. 최영욱 전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싱가포르 법인장(사진)이 하이에셋매니지먼트아시아 대표를 맡는다. 그는 대우증권 딜링룸 출신으로 싱가포르에서 10년 가까이 근무한 현지 전문가다.최 대표는 김태오 DGB금융 회장의 인사 원칙에 부합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김 회장은 증권, 보험, 캐피탈, 자산운용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계열사 CEO에 은행 출신을 배제하고 각 업권에서 경력을 쌓은 인물을 중용하고 있다. 자산운용업과 싱가포르 현지 경험이 풍부한 최 대표는 하이에셋매니지먼트아시아를 이끌 적임자인 셈이다.
◇'인재 사관학교' 대우증권 딜링룸 거쳐 싱가포르로

최 대표는 싱가포르 현지에서 본인가 작업을 진두지휘했다. DGB금융이 싱가포르 자산운용사 법인 설립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최 대표를 영입했고 그에게 라이선스 획득 절차를 일임했다. 그는 DGB금융의 열한 번째 계열사 설립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
그는 주식 운용역으로 화려한 커리어를 쌓은 인물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인재 사관학교'로 불렸던 옛 대우증권 딜링룸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대우증권 딜링룸은 최 대표 뿐만 아니라 다수의 증권업계, 자산운용업계 CEO를 배출했다. 전병조 전 KB증권 사장, 손복조 전 토러스투자증권 사장, 김해준 전 교보증권 대표 등이다. 현역 CEO로는 남기천 우리자산운용 대표, 황성환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표가 대우증권 딜링룸을 거쳐갔다.
이후 최 대표는 대우증권 홍콩 법인에 부임해 해외 투자 역량을 쌓았다. 2014년에는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싱가포르 법인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은 2007년 국내 자산운용사 중 이례적으로 싱가포르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곳이다. 10년 가까이 싱가포르 법인에서 근무한 최 대표는 국내에 흔치 않은 현지 전문가로 성장했다.
◇다시 한번 입증된 '전문성 중시' 인선
DGB금융은 최 대표에게 전폭적인 신뢰를 보내고 있다. 김 회장은 2018년 취임한 이래 계열사 CEO 인사에 전문성을 가장 중시하고 있다. 은행 출신 임원들에게 자리를 나눠주는 식으로 계열사 CEO 인선을 하지 않는 게 김 회장의 원칙이다.
DGB금융은 증권, 보험, 자산운용, 캐피탈 계열사 CEO로 대구은행 출신이 아닌 각 업권 전문가를 기용하고 있다. 행장이 되지 못한 은행 출신 임원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계열사 CEO를 임명하는 국내 금융권 관행 속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인사 방식이다.
해외 법인 CEO를 임명할 때는 현지 전문성을 본다. 대구은행 캄보디아 현지 법인 DGB BANK는 현지인인 올 데속콤(Oul Dethsokhom) CEO가 맡고 있다. 최 대표가 하이에셋매니지먼트아시아 대표로 임명된 데도 그의 싱가포르 근무 이력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싸이닉솔루션 IPO]'공동보유' 과반 지배력 확보, 오버행 우려 ‘최소화’
- [Company Watch]'현대차 납품' 일지테크, 300억 투자 '미국공장 신설'
- [씨너지는 지금]기업 RE100 조력가, ESG시장 팔란티어 꿈꾼다
- '상폐 위기' 에스유앤피, 삼덕회계법인에 소송 제기
- [급물살 탄 코인결제]페이팔 있는데 왜? 급증하는 코인결제 수요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파이오링크, 스위치로 내딛은 첫 발 '보안으로 확장'
- [Financial Index/증권사]우수한 증권사 '단기 상환능력', 1위는 삼성증권
- [유동성 풍향계]현금 줄어든 엔씨소프트 '1조 신사옥' 부담
- [Financial Index/저축은행]여신건전성 악화속 '잘 버틴' SBI저축은행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하나·우리금융, 이사회 외부 평가 첫 주자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PRM 여신' 4조 돌파, 탄력받은 아웃바운드 영업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은행·자산운용과 시너지, 임종룡 회장 리더십에 달렸다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한창…가계대출 '40%' 고지 보인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하나은행, '당근·네이버' 손잡고 자금조달 경쟁력 강화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외형 성장' 아닌 '체질 개선' 택했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임종룡 회장 '독립 경영' 방침 드러난 보험사 CEO 선임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은행, 디지털 경쟁력으로 '공급망 금융' 선도한다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동양 성대규·ABL 곽희필' CEO 내정, 신한라이프 모델 따른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KB국민은행, 코인·카페·편의점 침투 '리테일 최강자' 굳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