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 그 이후]합병 셀트리온, 구조적 운전자본 부담 해소 관건⑤현금사이클 500일로 늘어져, 거래구조 단순화로 운전자본 통제력↑
원충희 기자공개 2024-05-08 08:17:40
[편집자주]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빅딜(Big Deal)'은 기업의 운명을 가른다. 단 한 건의 재무적 이벤트라도 규모가 크다면 그 영향은 기업을 넘어 그룹 전체로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다. THE CFO는 기업과 그룹의 방향성을 바꾼 빅딜을 분석한다. 빅딜 이후 기업은 재무적으로 어떻게 변모했으며, 나아가 딜을 이끈 최고재무책임자(CFO) 및 재무 인력들의 행보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9일 12시1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셀트리온은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하면서 재고자산이 3조원 규모로 급증했다. 이로 인해 재고자산회전기간이 10개월을 넘어가게 됐다. 두 회사로 나눠져 그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운전자금 회전주기(Cash Conversion Cycle)가 이번에 명확히 드러난 셈이다.다만 매출구조가 '제품 생산→최종소비자 판매'로 단순화 됨에 따라 인력배치와 전사적 자원 활용 및 시너지 증대를 노릴 수 있게 됐다. 합병 후 제고된 운전자본 통제력을 활용, 늘어진 현금 사이클을 빠른 시간 내 줄일 수 있는 게 관건이다.
◇운전자본 회전주기 518.26일, 1년 넘게 현금 묶여
셀트리온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재고자산은 3조414억원으로 통합 전(2023년 9월 말) 5250억원 대비 5.8배로 급증했다. 흡수 합병된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재고 2조6806억원이 반영됐다. 합병 전 셀트리온이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제제 복제약) 생산자,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판매자 역할을 있던 점을 감안하면 재고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몰려 있었다.

재고자산이 급증하면서 재고를 팔아 현금화하는 기간(재고자산회전일수)도 늘어졌다. 작년 말 기준 306.72일로 2022년 말(95.44일) 대비 3배 이상 확대됐다. 여기에 제품을 납품한 후 대금을 받는데 걸리는 기간(매출채권회전일수) 220.03일을 더하고 인건비나 재료비 등의 대금결제 일수(매입채무회전일수)를 제한 값이 운전자금 회전기간, 일명 현금 사이클이다.
현금을 투입해 원재료를 구입하고 제품을 만들어 판매한 뒤 현금으로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기간이 518.26일로 1년 반이나 현금이 묶인다는 의미다. 현금 사이클이 길어질수록 자금순환이 막히고 유동성이 나빠진다. 운전자본 규모가 3조9511억원으로 전년(2조2168억원)대비 1조원 넘게 늘어난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정확히 말하면 운전자본 부담이 가중됐다기보다 실제 운전자본 부담 규모가 드러난 격이다. 그동안 두 회사로 나눠져 제대로 보이지 않았던 운전자금 흐름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투명성이 제고됐다. 합병으로 기존 '셀트리온 제품 생산→셀트리온헬스케어 재고매입→ 최종소비자 판매' 구조에서 '제품 생산→최종소비자 판매'로 단순화 된데 따른 영향이다.
◇분리된 생산·판매 통합, 운전자본 통제 효율성 제고 관건
셀트리온은 그간 생산과 판매가 분리된 사업구조상 운전자본의 규모 및 변동성 큰 편이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매출채권 회수기간은 9개월(기존 6개월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9개월로 변경)이나 매입채무 대금결제는 대부분 1~2개월 내 이뤄지고 있어 구조적 운전자본 부담이 내재했다. 2020~2022년 평균 매출채권 회전기간은 222일, 매입채무 회전기간 10일, 재고자산 회전기간 85일이었다.
이번 합병을 통해 전사적 자원 활용 및 시너지 증대로 경영 효율성 제고가 가능해지면서 구조적인 운전자본 부담을 해소할 여건이 마련됐다. 양사의 합병과 더불어 운전자본 부담이 대폭 감소한 게 그 시작이다. 셀트리온의 작년 말 연결기준 운전자본 투자는 2214억원으로 전년(7481억원)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덕분에 순유출(-89억원) 상태였던 영업현금흐름이 순유입 5126억원으로 전환됐다. 잉여현금흐름 역시 순유출 4234억원에서 순유입 1072억원으로 개선됐다. 셀트리온은 신규품목 출시 전후의 재고자산 증가와 최전방 거래처로부터의 매출채권 회수 장기화 등 운전자금 변동성이 신용도 평가 과정에서 부정적 요소로 고려된 만큼 이를 개선하는 게 합병효과를 보여줄 관건이 됐다.
이는 거래구조 단순화로 운전자본 통제 효율성을 얼마나 끌어올리느냐에 달렸다. 셀트리온은 직접판매 비중을 2016년 1%에서 2022년 30%로 확대했으며 2025년 90%, 2030년 10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직판망 구축 초기에는 판매관리비 등 초기비용 증가 예상되나 직판 확대로 파트너사에 지급하던 유통마진 흡수, 수익성은 개선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