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7월 10일 07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종성 삼성SDI 경영지원실장(CFO·부사장)의 건배사는 '배터리'라고 한다. 일명 "배가 터지게 이익을 내자"란 뜻이다. 이 얘기를 듣자마자 '역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외연 확장보다 수익성을 중시하던 삼성 특유의 경영기조가 녹아있는 건배사이기 때문이다.사실 2차전지가 마진이 좋은 사업은 아니다. 삼성SDI만 보더라도 배터리를 담당하는 에너지솔루션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4.6%, 전자재료 부문은 9.6%로 상당한 차이가 난다. 2차전지로 배가 터지게 벌려면 외연을 무리하게 늘리는 것보다 고마진 제품 위주의 경영이 필수다.
실제로 삼성SDI는 경쟁사들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며 증설에 나설 때 외형 경쟁에 그리 적극 나서지 않았다. 삼성 전자계열사 중 유일하게 회사채 조달을 하긴 했지만 이 역시 모두 상환하는 등 레버리지를 줄였다. 시설투자는 영업현금흐름 내에서 집행했다.
경쟁사 대비 점유율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란 우려가 팽배했으나 전기차 캐즘(침체기)에 들어선 지금에 와서 보면 삼성SDI는 오히려 현명하게 갔다. 이는 삼성SDI만의 기업문화 또는 김 부사장의 뚝심이었을까. 꼭 그렇게 한정적으로만 보긴 어렵다.
물산, 전자, 디스플레이, 전기, SDS, E&A 등 삼성그룹 상당수의 계열사들이 이 같은 재무 기조를 갖고 있다. 현금을 최대한 쌓아두고 외부차입을 최대한 지양하는, 자본시장을 통한 조달에 소극적이며 레버리지를 자제하는 전략. 삼성그룹을 관통하는 재무정책의 특징이다.
이런 재무성향이 삼성SDI에 안착된 계기로는 미래전략실 출신 CFO들이 꼽힌다. 2015년 말 삼성SDI 경영지원실을 맡은 김홍경 당시 전무(전략1팀 출신)를 비롯해 권영노 부사장(경영진단팀 출신)에 이어 현 김종성 부사장(전략1팀 출신) 모두 미전실에 몸담았던 인사들이다.
일설에 따르면 이 같은 기조가 확립된 것은 1997년 외환위기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5년쯤 최도석 삼성전자 경영지원총괄 사장이 IMF 시절을 회고하는 얘기를 강연장에서 한 적 있는데 당시 삼성전자의 실질적 자기자본이 제로였다는 고백이다. 그 이후로 삼성그룹은 전반적으로 현금을 넉넉하게 보유하고 자본시장 조달을 지양하는 경향이 짙어졌다는 것이다.
금융과 자본시장은 기업이 필요할 때 실탄을 대거 끌어올 수 있는 효과적인 무기다.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할 때, 경기가 좋을 때 다른 기업들이 레버리지를 늘려 질주하는 것을 보면 삼성의 걸음은 비교적 느리다 여겨질 수 있다. 다만 침체기에 들어서면 삼성이 순현금을 기저에 깔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움직이는지를 깨닫게 된다.
"수영장에 물이 빠지고 나면 누가 벌거벗은 채 수영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워렌 버핏의 명언은 꼭 주식시장에서만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CFO의 건배사에도 그 회사의 지향점이 깃들어 있기 마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원충희 THE CFO부 차장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