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E&S 합병 '승부수']자산 '100조' 공룡의 탄생, 외형 확대·부채비율 축소 효과단기차입 부담 일부 줄어…총차입의존도는 동일
김동현 기자공개 2024-07-18 08:15:09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7일 18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으로 SK이노베이션은 자산 100조원의 대형 에너지 사업자가 된다. SK E&S의 연결 재무제표상 자산총계(19조3220억원)를 SK이노베이션의 연결 재무제표에 그대로 반영한 값이다.해당 산식에 따라 합병 SK이노베이션의 재무부담을 살펴보면 부채비율은 170%대로 거의 유지된다. 175.8%에서 173.1%로 약간 줄어든다. 자산총계가 100조원까지 확대되면서 당장 상환해야 할 단기성차입금(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부채) 부담을 나타내는 단기차입금의존도도 약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합병 주체인 SK이노베이션은 SK E&S 합병을 통해 확대된 자산과 수익성 강화 등을 내세워 주주 설득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안정적인 도시가스 사업을 영위 중인 SK E&S를 품으면 실제 SK이노베이션의 연결 수익성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례로 SK이노베이션이 적자를 기록한 2020년(-2조5688억원), SK E&S는 2412억원의 흑자를 기록했고 지난해의 경우 SK E&S의 영업이익(1조3317억원)이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1조2868억원)을 앞서기도 했다. 특히 합병 SK이노베이션의 자산 규모가 100조원까지 늘어나 확실한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양사 자산이 부채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부채비율은 지속해서 관리해야 한다. 1분기 말 기준 SK이노베이션의 자산 86조3841억원 중 63.7%(55조618억원)가 부채이며 SK E&S 역시 자산총계 19조3220억원 중 61.7%(11조9340억원)가 부채다. 양사 합병 이후 자본총계의 증가로 부채비율 자체는 175.8%에서 173.1%로 약간 내려오지만 관리가 필요한 수준이다.
SK이노베이션은 이차전지, 친환경 소재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며 최근 부채비율이 올라가긴 했으나 이전까진 150% 내외 수준으로 부채비율을 관리했다. 부채비율이 200%선까지 올라간 시기는 출범 초기인 2009년(209.8%)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2007년 SK㈜가 지주사로 전환하며 SK에너지(2011년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로 물적분할)가 자회사로 출범했는데 이때 부채비율이 200%를 웃돌았다.
합병 전후 차입의존도 측면에선 큰 변화가 없다. SK이노베이션의 1분기 말 총차입금은 33조4872억원으로, 여기에 SK E&S의 총차입금(7조5697억원)이 더해지면 41조원까지 총차입이 늘어난다. 대신 자산이 100조원 규모까지 확대되며 차입금의존도는 합병 전후 38.8%로 동일하다.
단기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단기차입금의존도는 오히려 약간 줄어든다. 현재 SK이노베이션의 단기차입금의존도는 13.6%인데 SK E&S의 단기성차입금이 더해질 경우 12.9%로 0.7%포인트(p) 낮아진다. 이 역시 자산이 확대된 결과다. SK E&S는 단기차입을 일으키지 않고 있어 1조9129억원의 유동성장기부채만 단기성차입금에 들어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코오롱모빌, 자회사 배당 수익 본격화
- 포스코퓨처엠, 1년만에 반등...중국법인도 흑자전환
- HD현대마린솔루션 전사업 두자릿수 증가율…"ASP 지속 상승"
- [thebell note]HD현대일렉 '성장 방정식'
- [중견 배터리사 점검]5000억 투자 '속도조절' 켐코, 동맹군이 '뒷받침'
- [중견 배터리사 점검]본궤도 준비 켐코·한국전구체, '캐즘' 정비시간 벌었다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중견 배터리사 점검]동화일렉 이사회, 오너 3세·전문경영 CEO 균형 유지
- 매각 추진중인 현대IFC, 현대제철에 첫 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