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캐피탈, 늘어나는 대손비용에 수익성 '뒷걸음' PF 충당금 보수적 적립 기조…조기 추심 강화로 연체율 방어
김경찬 기자공개 2024-07-31 12:52:01
이 기사는 2024년 07월 30일 14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캐피탈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PF 충당금을 비롯해 대손비용을 추가로 인식하며 상반기 순이익이 감소했다. 하나캐피탈은 상반기에만 1000억원이 넘는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하나캐피탈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익성보다 건전성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기업여신 보수적 평가에 부실자산이 늘었지만 연체를 줄이면서 건전성 지표 일부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 수수료이익 성장 지속, 수익성 지표 5년 만에 최저치
하나캐피탈은 올해 상반기에 순이익 1111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1211억원) 대비 8.3% 감소한 실적으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나캐피탈은 수수료이익 중심으로 이익 성장을 지속했지만 대손비용이 늘어나면서 전년보다 저조한 순이익을 거뒀다.
올해 상반기에 적립한 대손충당금 규모는 1040억원 수준이다. 이를 포함한 충당금 등 전입액은 1196억원을 기록하며 2.8% 증가했다. 일반관리비는 외형 성장으로 인해 14.3% 증가한 499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캐피탈은 시장상황이 전반적으로 어려운 가운데 대출자산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다. 총자산은 약 18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가량 증가했다. 대출자산은 8.8% 증가한 16조4249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캐피탈은 자산 성장에도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수익성 지표가 악화됐다. ROA(총자산순이익률)는 1.18%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0.21%포인트 하락했다. ROE(자기자본순이익률)는 2.55%포인트 하락한 9.09%를 기록하며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의 수익성 지표를 보였다.
일반영업이익은 3171억원을 기록하며 4.2% 증가했다. 수수료이익이 35.1% 증가한 1192억원을 기록하면서 일반영업이익의 성장을 이끌었다. 매매평가이익도 326억원을 기록해 63.8% 증가하며 이익 성장을 견인했다. 이자이익은 1654억원으로 11.9% 감소했다. 조달금리가 상승하면서 이자비용이 늘어난 여파다.

◇ PF 보수적 평가에 부실자산 증가, 포트폴리오 안정적 구축
올해 하나캐피탈은 수익성 제고보다 건전성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신규 취급시 프로세스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도 PF 대출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강화하는 등 기업대출을 보수적으로 평가하며 충당금을 적립해나갈 계획이다.
강화된 평가 기준에 따라 PF 관련 부실자산이 증가하면서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다소 악화됐다. 6월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전분기 대비 0.07%포인트 상승한 1.31%를 기록했다.
NPL커버리지비율은 96.57%를 기록하며 100% 미만으로 떨어졌다. NPL커버리지 비율은 고정이하여신(NPL) 대비 충당금 적립액으로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자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연체율의 경우 연체 자산의 정상화에 따라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6월말 기준 연체율은 1.38%로 전분기 대비 0.59%포인트 개선됐다. 다만 0%대를 기록했던 예년보다는 높은 연체율이 지속되고 있다. 하나캐피탈 관계자는 “현장 밀착관리와 조기 추심을 강화하며 연체율을 방어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하나캐피탈은 올해 자동차금융과 플랫폼 중심으로 리테일 상품력을 강화하며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렌터카와 중고차 시장점유율(M/S)을 확장하고 있으며 개인금융부문에서는 온라인 영업 중심으로 다이렉트 영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
- [MG캐피탈은 지금]'숙원 과제' 신용등급 상향 초읽기, 재도약 '신호탄' 될까
- 현대커머셜, 고수익 자산 대손비용 확대에 실적 '주춤'
- 신한캐피탈, 추가 충당금 규모 줄여 분기 흑자 전환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매각 소식에 업계 '술렁', 다른 일본계 동향은
- [컨콜 Q&A 리뷰]BNK금융 "순이익 목표치 낮춰도 주주환원 계획 이행 가능"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국내 사업전략 조정 불가피, 인베·캐피탈 거취에도 '촉각'
- [Sanction Radar]CNH캐피탈, 업무 보고서 '거짓' 작성…기관주의 '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