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을, 글로벌학회서 말라리아 AI 진단 성능 공개 말라리아 진단시 기존 현미경 전문가보다 우월 성능 입증
성상우 기자공개 2024-11-15 10:18:31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5일 10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노을은 자사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 'miLabTM MAL'의 AI 진단 성능이 표준 현미경 검사 대비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고 15일 밝혔다.노을은 지난 13일부터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열대의학 및 위생학회(American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이하 'ASTMH')에서 구연 발표와 포스터 발표를 통해 miLabTM MAL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 진행된 miLabTM MAL의 임상 성능 연구는 학회의 주요 연구에 해당하는 구연 발표(Oral Presentation)로 채택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나이지리아 말라리아 프로그램의 말라리아 운영 전문가 그룹(Malaria Operational Research Expert Group of the National Malaria Programme, MOREG)의 의장인 웰링턴 나이지리아 라고스 대학 교수(Prof. Wellington A.Oyibo)는 "miLabTM MAL은 현미경 전문가 수준을 넘어선 정확한 진단 결과를 15분 이내 신속하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기술적 가치를 가진다"면서 "miLabTM MAL은 말라리아 퇴치에 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독보적인 솔루션으로 말라리아 진단에 새로운 글로벌 스탠다드를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이지리아 라고스(Lagos) 지역의 말라리아 의심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진단 성능을 분석한 결과 miLabTM MAL의 민감도는 94.4%, 특이도는 98.1%를 보였다. miLabTM MAL이 아프리카 현장에서 숙련된 현미경 전문가 수준 이상으로 말라리아를 진단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고위험 지역에서 말라리아 의심 환자의 음양성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해 낼 수도 있는 수준이다.
miLabTM MAL에 적용된 최신 AI 기술에 대한 포스터 발표도 이번 학회에서 진행됐다. 현미경 전문가의 심층적인 세포 관찰 결과를 모방한 검토 분류기(Reviewing Classifier)를 추가해 AI 진단 정확도를 보다 정교하게 후보정하는 노을의 특허 기술이다. 이를 통해 말라리아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연구 결과를 전후향적으로 비교한 결과 전체 일치율(Overall Percent Agreement, OPA)에서 전반적인 개선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후향적 연구인 2022년 말라위에서 진행한 임상 성능 연구(N=488)에선 92.3%에서 98.3%로 개선됐다. 전향적 연구인 2024년 말라위(N=261)와 에티오피아(N=104)에서 진행한 임상 성능 연구에선 각각 98.5%에서 99.6%로, 96.2%에서 100%로 일치율이 향상되며 현미경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애매한 판정 빈도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노을 김태환 최고사업책임자(CBO)는 "miLabTM MAL은 WHO가 2030 말라리아 달성 과제로 언급한 디지털 현미경 제품으로 말라리아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 방식인 기존 현미경 검사를 뛰어넘는 우수한 성능을 입증해왔다"면서 "이번에 공개된 최신 연구 결과를 통해 말라리아 진단의 새로운 글로벌 스탠다드로서 독보적인 시장 포지셔닝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노을은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주요 국가의 대형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최근엔 WHO PQ 인증 등 국제 공공조달 시장 진입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2022년 UNITAID 보고서에서 '현미경 진단의 모든 기능을 통합한 가장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현미경 플랫폼'으로 소개된 바 있다. 2024년 4월 WHO 보고서에선 2030년까지 말라리아 관련 활동 전반에서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할 결과물로 '디지털 현미경'이 포함되면서 시장 내 대안이 없는 새로운 골드 스탠다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i-point]필옵틱스, TGV 검사장비 개발 "유리기판 라인업 확대"
- [i-point]신테카바이오, 미국 최대 규모 암센터와 공동연구 협약
- [i-point]고영테크놀러지, 미국 학회서 뇌수술 로봇 'Geniant Cranial' 첫 공개
- [뉴파워프라즈마 줌인]자회사 상장 "미국 상호관세 타격 없다"
- [i-point]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한국 식약처 정식 품목허가
- [i-point]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 흡수 합병
- [i-point]케이쓰리아이, 글로벌 대기업향 XR시뮬레이터 후속수주
- [i-point]아이씨티케이, 미군 전시회 'LANPAC·TECHNET'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