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파운드리 쇄신, 사업부장·CTO '사장급' 배치 한진만 DSA총괄 부사장,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으로 승진
노태민 기자공개 2024-11-28 09:37:41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7일 10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사업 수장을 교체했다. 2020년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선임 후 약 4년 만의 일이다.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사업에서 매 분기 조 단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진만 신임 파운드리사업부장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정상화, 글로벌 고객 확보 등의 중책을 맡게 됐다.
◇최대 위기감 파운드리에 심은 대변화
삼성전자는 27일 2025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통해 한진만 삼성전자 DS부문 DSA총괄 부사장(사진)을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으로 승진시켰다고 밝혔다.
한 사장은 DRAM·Flash설계팀을 거쳐 SSD개발팀장, 전략마케팅실장 등을 역임했다. 2022년말 DSA총괄로 부임해 현재까지 미국 최전선에서 반도체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한 사장이 "기술전문성과 비즈니스 감각을 겸비했고 글로벌 고객대응 경험이 풍부해 공정기술 혁신과 더불어 핵심 고객사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파운드리 비즈니스 경쟁력을 한 단계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 사장은 먼저 삼성전자 파운드리 선단 공정 안정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3nm 공정 수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삼성전자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엑시노스 2500 생산이 다소 지연된 상태다. 삼성전자는 당초 엑시노스 2500을 내년 초 출시되는 갤럭시 S25에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현재 내년 하반기께 출시 예정인 폴더블폰에 탑재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내년 양산 예정인 2nm 공정 안정화도 한 사장의 큰 과제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현재 2nm 반도체 고객으로 일본 인공지능(AI) 기업 프리퍼드네트웍스(PFN)과 AI 반도체 기업 암바렐라, 리벨리온 등을 확보한 상태다.
파운드리 업계 관계자는 "한 신임 사장을 파운드리사업부장으로 선임한 것은 미국 빅테크 영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며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선단 및 레거시 공정 모두 가동률이 낮은 상황인데, 마진을 포기하더라도 공격적인 영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기술 경쟁력 제고…사장급 CTO 보직 신설
삼성전자는 이번 연말 사장단 정기 인사에서 파운드리 사업부 사장급 최고기술책임자(CTO) 보직을 신설했다. 반도체 기술 경쟁력 강화와 조직 분위기 일신을 위해서다.
남석우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사업부 CTO 신임 사장은 반도체 공정개발 및 제조 전문가로 반도체연구소에서 메모리 전제품 공정개발을 주도했다. 메모리·파운드리 제조기술센터장, DS부문 제조&기술담당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선단공정 기술확보와 제조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는 남 사장이 "반도체 공정 전문성과 풍부한 제조경험 등 다년간 축적한 기술리더십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기술력 제고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CTO 보직을 신설함에 따라, 관련 조직 개편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 DS부문 R&D는 송재혁 CTO 사장이 총괄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업계에서는 파운드리 CTO 보직 신설에 따라 향후 파운드리 관련 연구는 남 사장이 주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스템LSI사업부를 맡고 있는 박용인 사장은 연말 사장단 정기 인사에서 유임됐다. 박 사장은 내년에도 엑시노스 2500 양산, 고대역폭메모리(HBM)4용 로직 다이 등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양산을 지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인사와 조직 개편을 마무리하고 12월 중순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어 내년 사업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 메모리 한계 깬다 '차세대 전장 CXL 공략'
- [Company Watch]'실적 반등' LX세미콘, DDI '증산' 나섰다
- [IR Briefing]LG CNS, 'AI' 고성장세 확인…'보험·증권사' 공략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배터리 침체' 원익피앤이, 늘어난 단기차입에 재무여력↓
- [IR Briefing]SK하이닉스, 관세 영향 제한적 'HBM 문제 없다'
- [IR Briefing]삼성SDS "상호 관세, 글로벌 물동량 감소 이끌 것"
- LG전자 "AI 가전 선결 조건 스마트홈"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유동성 늘어난 원익IPS, M&A 재개할까
- SK하이닉스, 낸드 이어 D램도 쌓아서 만든다
-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의 상법 개정 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