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미수금 모니터]포스코이앤씨, 매출채권 회수 '청신호'…외형 성장 기대미청구공사 4000억 감축, 매출 대비 총 미수금 20% 불과…수주잔고 증가세
정지원 기자공개 2025-04-21 07:37:27
[편집자주]
건설업계에 미수금 이슈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미분양이나 발주처 미지급 등의 여파로 공사를 진행했지만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침체된 부동산 시장과 공사원가 상승에 따른 갈등 탓에 미수금 증가세가 더욱 가파르다. 기초체력이 남아있는 대형건설사들에게도 이미 수조원대 미수금이 쌓였다. 돈이 돌지 않으면 건설사의 리스크도 커진다. 더벨이 건설사 미수금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07시1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이앤씨가 공사비를 안정적으로 회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수금은 늘고 있지만 보다 리스크가 높다고 여겨지는 미청구공사 규모는 대폭 축소됐다. 미수금 역시 매출채권과 함께 늘고 있기 때문에 외형 성장의 신호라는 분석이다.미청구공사 규모가 800억원 안팎으로 큰 사업장 중 공사 완성기한을 넘긴 곳들이 눈에 띈다. 삼척 친환경화력발전소 건설사업, 폴란드 바르샤바 소각로 EPC 프로젝트 등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채권 회수를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사업을 관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연 매출 9.5조, 미수금+미청구공사 1.8조…수주잔고 39.6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미수금은 3358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 2162억원에 비해 55.4%가량 늘었다. 미수금은 건설사가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했음에도 받지 못한 금액을 뜻한다.
미수금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유동미수금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1년 안에 회수 가능한 채권에 속한다. 지난해 말 유동미수금은 3296억원으로 전년 말 1912억원보다 72.4% 늘었다. 단기간 회수가 어려운 비유동미수금은 같은 기간 250억원에서 63억원을 기록해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수금 증가를 부정적으로만 해석하기는 어렵다. 같은 기간 매출채권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수주 사업장의 진행 공사가 늘어나면서 전체 매출채권 및 미수금 규모가 함께 커진 것으로 봐야한다. 미수금 증가가 외형 성장에 따른 결과인 셈이다.
포스코이앤씨의 지난해 말 장단기매출채권은 1조7926억원으로 전년 말 1조3583억원 대비 32.0% 증가했다. 수주 규모도 늘고 있는 추세다. 포스코이앤씨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수주잔고는 39조6230억원으로 전년 말 38조6896억원에 비해 1조원을 더 쌓았다.
다만 지난해에는 매출이 소폭 하락했다. 지난해 포스코이앤씨의 연결기준 매출은 9조4687억원으로 전년 10조1657억원보다 6.9% 줄었다. 미수금 회수에 속도가 붙는다면 올해 매출은 충분히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삼척 화력발전소, 바르샤바 프로젝트서 800억씩 미청구공사 발생
건설사의 잠재 위험으로 여겨지는 미청구공사 역시 규모가 줄었다. 미청구공사는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하지 못한 채권이다. 경기가 좋지 않거나 사업이 어려울 때는 발주처와 대금 정산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회수가능성이 떨어지는 채권인 탓에 위험자산으로 분류된다.
포스코이앤씨의 지난해 말 미청구공사액은 1조525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 1조9629억원보다 약 4000억원, 22.3%가량 줄었다. 매출액 대비 규모도 축소됐다. 매출 대비 미청구공사 비중은 16.1%를 기록했다. 전년 19.3%에 비해 3%p 이상 줄었다.
통상 매출 대비 미수금과 미청구공사 규모가 30%를 상회할 때 매출채권 회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한다. 포스코이앤씨의 지난해 말 기준 미수금 및 미청구공사 합계액은 1조8608억원으로 집계된다. 지난해 연 매출의 19.7%를 수준이다.
단 미청구공사 규모가 큰 사업장 중 공사가 90% 이상 진행된 프로젝트가 많은 편이다. 폴란드 바르샤바 소각로 EPC 사업에 잡힌 미청구공사액은 860억원에 달한다. 완성기한은 지난해 말까지였다. 지난해 말 기준 공사 진행률은 85.52%에 달한다.
삼척에서 진행 중인 두 개 프로젝트의 경우엔 모두 공사 완성기한이 지났다. 친환경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의 지난해 말 진행률은 90.67%, 미청구공사는 822억원으로 나타났다. 삼척블루파워 1·2호기 EPC 건설공사는 지난해 4월까지 끝내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까지 진행률 96.76%에 미청구공사 767억원을 잡았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채권 회수 등을 위한 내부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미청구공사 회수 및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며 "건설 원자재, 인건비 등이 오르는 상황에서 세밀하게 사업을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더핑크퐁컴퍼니 IPO]코스피 노리던 '아기상어', 코스닥 선회 배경은
- [더핑크퐁컴퍼니 IPO]6년 기다린 상장, 실적 개선에 코스닥 입성 본격화
- 더시에나그룹, 중부CC 인수한다
- 법정구속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 경영공백 '현실화'
- 마스턴운용, 용인 백암 물류센터 '백기'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VIP운용, 주성엔지니어링 분할계획에 반대표
- [더제이운용 ETF 승부수]시장 타이밍 '적기'…사업다각화 고민 '결과물'
- [증권사 기관전용펀드 열전]부동산 PEF 경쟁 심화…'공동GP' 카드 만지작
- KB증권 PBS, 주식형 수탁 강화…수익성 높였다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KB증권 OCIO, 최단기간 3관왕 저력 '승부수'
정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홈플러스 매장 수취임대료 '그대로'
- [PF Radar]아이비네트웍스, '숙원' 을지파이낸스센터 착공 가시화
- [도약하는 NAI코리아]'키맨' 최인준 대표, 캐피탈마켓본부 출범 후 성과는
- [캐시플로 모니터]포스코이앤씨, 2000억 현금 유출…연말 반등할까
- '25번째 상장' 대신밸류리츠 출격 준비
- [Red & Blue]코람코더원리츠, 임대조건 개선 기대감…5000원대 안착
- NH프라임리츠, '강남N타워' 매각…131억 차익
- [China Conference]"중국내 정책 작동 매커니즘 이해도 절실"
- 코람코앵커리츠, 첫 회사채 500억 조달 '닻' 올렸다
- [도약하는 NAI코리아]공동대표 체제 전환…대형 거래 점유율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