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머스 줌인]상장 6개월 만에 공모가 근접, 고평가 논란 해소 '변곡점'①상장일 시초가, 공모가 대비 30% 하회…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반전'
성상우 기자공개 2025-05-13 08:46:08
[편집자주]
노머스는 국내 엔터업계에 모처럼 등장한 코스닥 상장사다. 아티스트 IP 비즈니스와 공연기획 역량을 무기로 빅4(SM·YG·JYP·HYBE)가 독식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공모 당시 투심 위축과 고평가 논란이 겹친 탓에 상장 초기 다소 고전했지만 올해 본격 반등 구간으로 접어든 모양새다. 더벨이 노머스의 상장 2년차 행보를 짚어봤다.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2일 17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상장 당시 고평가 논란으로 몸살을 앓았던 엔터테크 전문기업 노머스의 주가가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1월 상장 초기, 주가가 부침을 겪었지만 6개월만에 공모가(3만200원) 수준에 근접했다. 주가는 지난 3월 이후 3개월째 우상향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에선 올해 고평가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원년이 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노머스는 지난 2일 장중 2만9900원을 기록하면서 상장 이후 최고 주가를 나타냈다. 상장 후 공모가인 3만200원에 가장 근접한 가격이었다. 최근 며칠새 보합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이달 12일 종가는 2만8100원으로 며칠전 최고가와 격차가 크지 않은 가격대를 보였다.

다만 아직 공모가는 회복하지 못한 상황이다. 노머스가 공모 당시 확정한 공모가는 3만200원인데, 상장 첫날 시초가는 이보다 30% 가량 낮은 2만1500원이었다. 당시 종가는 시초가보다도 10% 더 떨어진 1만9400원으로 내려앉았다.
노머스에 대한 고평가 지적은 공모 준비 단계에서부터 거론됐다. 상장 직전년도인 2023년에 적자를 낸 노머스는 ‘테슬라 요건’으로 불리는 이익미실현 기업 특례를 통해 코스닥에 입성했다. 당시 제시한 공모가 산정 과정에서 올해 연간 실적 추정치를 적용했다.
기달성 실적과 미래 실적 추정치 간 격차가 다소 컸던 게 고평가 논란의 시발점이 됐다. 2023년 연매출 423억원에 313억원 규모 순손실을 낸 노머스는 2025년도 추정 실적으로 1000억원대의 매출과 260억원대 순이익을 제시했다.
신생기업인 노머스가 피어그룹으로 국내 엔터 업계 대형 3사(JYP엔터·에스엠·YG PLUS)를 선정하고 23배의 멀티플을 반영한 것 역시 지적 대상이 됐다. 테슬라 트랙으로 상장한 기업들의 성공 케이스가 극히 드물다는 회의론도 기저에 깔려있었다. 다만 당시 회사 측은 이를 크게 의식하지 않았다. 오히려 적정 밸류라는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상장 초반 직후 주가는 반대행보를 보였다. 상장일 종가가 공모가 대비 35% 하락한 1만9400원으로 주저앉았다. 주가 하락세는 며칠간 더 이어지면서 1만5000원대까지 내려갔다.
상장 주관사인 대신증권이 내걸었던 풋백옵션(환매청구권)도 대거 행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장일부터 3개월간 공모가의 90% 상당 가격으로 대신증권 측에 환매를 청구할 있도록 한 권리다. 지난해 11월 12일 상장한 노머스 주가는 3개월 도래 시점인 올해 2월 11일(종가 2만950원)까지 공모가의 90% 해당 가격(2만7180원)을 넘어선 적이 없다.
올해 들어선 분위기가 반등국면을 맞았다. 투심이 어느 정도 회복된 데다가 노머스 사업의 본질가치에 대한 재조명도 함께 이뤄졌다. 국내 엔터사 바운더리 밖에 있던 비주류 아티스트 IP 시장을 선점한 노머스의 포지셔닝이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지난해 설립 이래 최대 실적과 첫 흑자 전환을 달성한 것도 기폭제가 됐다.
달라진 시선은 주가에 그대로 반영됐다. 올해 초 1만7000원대였던 주가는 꾸준한 우상향 궤적을 그리면서 4개월 만에 50% 이상 상승한 2만7000원대로 올라섰다. 지난 2일 장중엔 2만990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공모가 회복을 눈 앞에 둔 상황이다.
시장 전망도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다. 특히 노머스가 최근 집중하고 있는 해외 공연 기획 사업의 수익성과 성장세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DS투자증권은 올해 연간 실적 전망치로 1100억원대 매출과 280억원의 영업이익을 제시하기도 했다. 매출은 노머스가 공모 당시 제시한 추정치(1045억원)보다도 높은 수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 [i-point]엔에스이엔엠, FMC 만찬회서 '어블룸' 글로벌 비전 선포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엔젤로보틱스,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에 웨어러블 기술 발표
- [i-point]딥노이드, KMI와 ‘검진 결과판정 AI 모니터링’ MOU
- [파인원 road to IPO]LGD 출신 포진, 8.6G 고객사 선점 우위 기대감
- [노머스 줌인]영업이익률 20% 상회, 실적 성장세 '뚜렷'
- [나우로보틱스 줌인]글로벌 Z사향 매출 추정치, 공모가 40%만 반영
- [파인원 road to IPO]FI 지분 62%, 오버행 물량 ‘1·3·6개월’ 분배
- [노머스 줌인]오버행 대부분 해소, 마지막 해제 물량 ‘예의주시’
- [i-point]바이오솔루션, 200% 무상증자 결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1분기 매출 9억 '턴어라운드'
- [i-point]케이쓰리아이, 로봇 시뮬레이션 개발 "피지컬 AI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