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사모펀드 공백 속 'ETF 신탁' 급성장 판매잔고 작년말 대비 7배 증가…올 들어 8000억 신규 판매
김수정 기자공개 2020-11-05 08:08:02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농협은행의 ETF 신탁 판매잔고는 323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말 468억원 대비 7배 가량 확대된 액수다.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ETF 신탁 신규판매 금액은 총 7683억원이다. 지난해 1238억원보다 6배 넘게 증가했다.
최근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 외에도 배당주나 K-뉴딜 정책 관련 테마주 등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가 상장되고 있다. 은행은 신탁 제도를 통해 특정금전신탁 형태로 ETF 신탁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은행 신탁은 은행이 고객 돈을 고객이 지정한 자산에 투자하며 임의로 운용하고 수수료를 받는 서비스다.
올 들어 농협은행 ETF 신탁 판매 잔고가 급격히 늘어난 배경엔 선제적인 시스템 구축과 판매 상품 다각화 노력이 있다. 농협은행은 2018년 실시간 ETF 거래 인프라를 갖췄다. 또한 인터넷이나 스마트뱅킹 같은 비대면 채널을 통한 매매 거래 시스템을 정비해 신탁 고객의 편의성을 제고했다.
지난해부터는 판매 상품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국내외 40여개 ETF 종목에 투자하는 ETF 신탁 라인업을 확보했다. 전문 운용인력을 활용해 체계적으로 상품을 선정하고 시장을 분석하는 등 ETF 투자에 대한 전문성 강화에도 공 들였다.
특히 '목표 달성 자동 해지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신탁 고객이 보다 손쉽게 자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목표 달성 자동 해지 서비스는 장중 ETF 신탁 수익률이 고객이 사전 설정한 목표치에 도달하는 경우 별도의 해지 신청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환매해주는 서비스다. 목표 달성 이후 환매, 그리고 재투자하는 투자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안정적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농협은행은 앞으로도 고객들의 투자처 확대 차원에서 ETF 신탁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K-뉴딜 ETF 관련 상품을 이달 새로 출시할 예정"이라며 "향후 고객 자산관리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성장성 높은 분야의 상품을 발굴하면서 ETF 신탁 상품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삼성운용, 에너지 전환사업 투자 ESG펀드 내놓는다
- 바로운용, '거제 부동산PF' 리테일 셀다운
- 신생 파로스운용, 첫해 농사 성공했다
- [Fund Watch]수익률 40% KB주주가치포커스, 행동주의 무뎌졌나
- [모태 2021 1차 정시출자]지원 운용사 30% 감소, LLC 등 플레이어 다양화 '눈길'
- [thebell interview]유니드캐릭터 "크리켓 문화권 맞춤 콘텐츠 제작 주효"
- [2021 VC 기상도]이강수 컴퍼니케이 부사장 "비대면 유니콘 육성 사활"
- [2021 VC 기상도]안근영 LB인베 부사장 "혁신 초기기업 과감한 투자 계획"
- [2021 VC 기상도]정일부 IMM 대표 "엑시트 성과 기대, 실탄 추가 확보"
- 건설근로자공제회, 2021년 PE·VC 출자 착수
김수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선내화, 20년 만에 시장성 조달 나선다
- 한화건설, 최대 1000억 공모채 발행 '착수'
- 호텔롯데, 신용등급 강등에도 올해 첫 수요예측 '흥행'
- 최악은 넘겼지만…호텔·면세업, 등급 방어 '가시밭길'
- 현대삼호중공업, 사모채 1650억 발행 '성공적'
- 현대오일뱅크, 첫 ESG채권 흥행몰이…1.3조 '밀물'
- 항공업, 펀더멘털 훼손 기로…등급 하락 압력 '고조'
- 신세계프라퍼티, 두 번째 시장성조달 '채비'...또 사모채
- [Rating Watch]'현대차 1차 벤더' 엠에스오토텍, '부정적' 꼬리표 떼나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삼성그룹, 5년내 최대 발행...'1등 파트너' KB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