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6월 28일 08:0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진료(약배송) 플랫폼이 급부상했다. 벤처캐피탈(VC)의 관심을 반영하듯 비대면 진료플랫폼의 투자 규모도 늘었다. 닥터나우는 최근 시리즈B로 4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굿닥과 똑닥 역시 각각 210억원(시리즈A), 172억원(시리즈D)의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코로나19로 주목받은 이들 기업은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지속적인 이용자 확보와 명확한 수익모델을 요구받는다. 그러나 아직 수익모델은 모호하다. 이들 기업의 이끌고 있는 대표들은 이용자가 늘어나면 수익모델은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용자 확보와 수익모델 다각화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도 보인다. 닥터나우는 최근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환자가 원하는 약물을 담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남성 중심 질환에 특화된 썰즈는 남성 대상의 서비스를 다각화하면서 수익모델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대부분의 비대면진료 플랫폼 기업은 환자들을 위한 편의성을 강조한다. 좀더 살펴보면 편의성이란 명목하에 가격이 저렴한 약물을 환자가 직접 고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닥터나우가 제공한 '원하는 약 담아두기'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는 의사들의 처방권 침해하는 행위다. 최근 닥터나우는 이를 일부 인정하며 관련 서비스를 중단했다.
결국 비대면 진료 플랫폼 회사는 제약회사로부터 저가로 약물을 들여오거나 OEM 생산을 통해 약물을 통한 마진을 고민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그러나 만성질환이나 탈모치료제 등 제네릭(복제약) 중심의 약물 시장에서 저가 약물 공급은 유의미한 수익모델이 될 수 없다는 업계 의견도 나온다.
여기에 처방권을 가진 의사와 조제권을 가진 약사 모두 아직 비대면 진료 플랫폼의 전면 허용에 대해선 유보적 입장 혹은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런 상황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기업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이처럼 풀어나가야 할 숙제가 많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바라보는 투자자 의견도 나뉜다. IT 심사역은 언젠가 규제가 풀리면 헬스케어 업계의 배달의민족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며 공격적으로 투자에 나섰다.
반면 바이오 심사역은 의사와 약사 간의 이해관계 속에 이 플랫폼이 작동을 막는 규제가 많아 투자에 신중한 입장이다. 배달의민족처럼 비대면진료플랫폼 기업은 환자에게 약배송 배달팁이나 병원이나 약국에 플랫폼 수수료를 매기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의료행위와 의약품은 국내에서 시장경제 원리가 작동하는 않는 분야다. 배달의민족과 같이 많은 이용자를 확보한다고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을지 비대면진료 플랫폼 기업이 답해야 할 시점이 가까워 지고 있다. 이와 함께 '언젠가 규제가 풀린다면'이라는 전제로 수백억원 규모로 투자를 집행한 투자자들 역시 명확한 투자근거를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삼성전자, 폴더블 왕좌지킨다…'퍼플' 마케팅 승부수
- ‘이변은 없었다’...신한은행 인천시금고 수성
- 스와니코코, 네이버쇼핑 인기 검색어 1위 달성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신금투, 주관계약 '10년차' 대성하이텍 결실맺었다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매출 성장 비결 'HP·ISI 양쪽 날개'
- NHN,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빅스텝
홍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미토이뮨, 페롭토시스 저해제로 신약 도전
- 세브란스 운영 '연세대', 2000억대 주식투자 '큰손'
- 시리즈A 마친 브이에스팜텍, 방사선 민감제 개발 도전
- 카카오헬스케어, 삼성병원 신수용 교수 영입…의료정보 강화
- 롯데헬스케어의 버티컬커머스 '맞춤형 건기식'
- [바이오 인사이더스]"비대면진료 플랫폼, 약배송 동반돼야 존속 가능"
- 모더나의 포스트 코로나 전략 '인플루엔자 다가백신'
- 뇌질환 신약개발 돕는 뉴로비스 "전임상 서비스 제공"
- 카카오의 디지털헬스케어 투자, 카카오벤처스로 재편?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진단기업 바이오니아·씨젠, 몸값 상승 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