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세미콘, '2조클럽' 외형성장에도 아쉬운 에비타 제품·재공품 등 재고 가격 하락에 영업이익 감소
김혜란 기자공개 2023-01-30 13:13:40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7일 13:2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LX세미콘이 업계 최초로 매출 2조원대에 진입했다. 그러나 에비타(EBITDA)는 전년 보다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에비타는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창출력을 의미한다.주력 제품인 디스플레이구동칩(DDI) 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반영하면서 이익이 줄었기 때문이다.
◇돋보이는 외형성장, 수익성은 주춤…왜?
27일 LX세미콘에 따르면 연결회계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2021년(1조18988억원)보다 11.6% 늘어난 2조119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LX세미콘은 2020년 1조1619억원으로 매출액 1조원을 처음 넘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3106억원으로 1년 새 16% 줄었다.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565억원, 1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2% 85.2%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보통신(IT) 기기 수요가 크게 둔화됐고, 이에 따라 세트(완성품), 패널 업체들이 가동률을 낮춰 재고조정에 들어가면서 LX세미콘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패널 업체들의 제품 출하가 재고 중심으로 발생하다 보니 중대형 패널용 DDI 수요 감소, 가격 하락이 불가피했던 것이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약 4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대규모 재고자산 평가손실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은 크게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LX세미콘의 지난해 3분기말 연결회계 기준으로 재고자산이 4483억원이다. 제품 1609억원, 재공품(제작 중인 제품) 3000억원으로 구성돼 있었다. 시황 악화로 DDI 가격이 하락하자 제품과 재공품에 대한 평가손실을 인식, 매출원가로 반영하며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 증권사에 따르면 올해 LX세미콘의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해소돼 IT 수요가 회복되는 데 달렸다. 이와 함께 LX세미콘이 얼마나 신성장동력을 보여주는지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회사가 중장기적으로 준비 중인 신사업을 얼마나 구체화해 성과를 내놓느냐에 시장은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관전포인트는 LX가 그룹 유일 반도체 기업인 LX세미콘의 기업 가치 상승을 위해 투자 규모를 얼마나 키우느냐다. LX세미콘은 현재 전장용 마이크컨트롤러유닛(MCU),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전력반도체, BMS(배터리관리시스템) IC 등을 개발 중으로 제품군을 다변화해 팹리스로서 글로벌 입지를 키운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AVN(Audio, Video, Navigation), 클러스터(Cluster), HUD(Head up Display)에 들어가는 AP설계 전문 회사 텔레칩스 지분을 인수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한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성장스토리를 보여주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대상 3세 임상민, M&A·해외확장 성과 '부사장' 등극
-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 “신사업 축소 '손실방어' 포트폴리오 재편”
- [쿠팡은 지금]'쿠팡플레이의 힘' 쿠팡와우 충성 고객 락인효과
- 하이트진로, 최대 매출 불구 '본사·영업 조직' 축소
- 한세예스24홀딩스, '신설 전략개발실' 수장 외부인사 낙점
- 한국콜마홀딩스, '석오 캐나다' 한국콜마에 매각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4년 만에 역성장' 티에스이, D램용 프로브카드 묘수될까
- [코스닥 주총 돋보기]’실적 자신감’ 이루다, 자금조달 채널 확장 추진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티씨케이, '한·일' 무게 중심 변화에도 자율 경영 지속
- M&A 전략 '우선순위' 라온시큐어, 두둑한 곳간 열릴까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사업 다각화' 모색 LS일렉트릭, 전기차 충전 시장 진출
- 삼성전자, 중소 팹리스 시제품 제작에 5000억 지원한다
- [thebell note]메모리의 위기, 비메모리의 기회
- "사업 불확실성 커졌다" 우려 쏟아진 삼성전자 주총
- 삼성 사업지원TF, SDC·파운드리 임원 보강해 재정비
-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리포트]"생태계 고르게 성장해야…개발비·세액공제 지원 필요"
- 삼성전기, 반도체기판에 역대급 투자…5년만에 10배
-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리포트]"20년 노하우로 국내 팹리스 스타트업 조력자 될 것"
-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리포트]'1세대 DSP 알파홀딩스', 도약 스토리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