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첫 해' 광무, 수익성·체질개선 다 잡았다 리튬염 유통 덕 매출 782억·영업익 23억 흑자전환, 수출 늘며 내수기업서 진화
조영갑 기자공개 2023-03-22 09:31:24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2일 09:2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광무가 지난해 수주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와 함께 수익성 역시 개선하며 3, 4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광무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782억2139만원을 기록했다. 2021년 매출액 189억1992만원 대비 313% 증가한 수치다. 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2010년 말 매출액 802억8467만원을 기록한 이후 12년 만에 최대치다.
특히 수익성이 개선됐다. 광무는 지난해 영업이익 23억7561만원을 기록, 전년 7억2474만원의 손실을 극복하고,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2억149만원, 3분기 영업이익은 1억7412만원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5월 말부터 시작된 리튬염 수주가 매출로 산입된 결과다. 수주 누적액은 3월 21일 기준 552억원이다.
광무 관계자는 "이차전지 소재 유통매출 상승과 사업부 수주 증가가 매출과 영업이익을 견인했다"면서 "또한 NI·SI사업을 포함한 비핵심사업을 지난해 구조조정하고 주력사업에 집중했고, 내부통제시스템을 개선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신사업 리튬염 유통 등 이차전지사업 매출은 538억8400만원으로 사업부 출범 첫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수출액이다. 지난해 매출의 43%(340억2900만원)가 수출에서 발생했다. 내수 기업이던 광무가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하는 한편 제품 사양 및 계약 조건 준수, 고객 요구사항 충족 등을 통해 수출기업으로 변신한 것이다.
광무 관계자는 "경기 민감도가 낮은 이차전지 소재와 글로벌 전해액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어 올해도 안정적인 수주가 예상된다"면서 "올 하반기부터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이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을 크게 늘리면서 소재 수요 급증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광무는 올해 단순한 소재 유통기업에서 탈피, 소재 개발·생산을 아우르는 종합 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비전을 밝히고 공격적인 투자와 M&A를 추진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
- [공직자 코인투자 논란]글로벌코인과 양극화, 간극 좁히기 필요한 국산코인
- 모바일 앱 출시한 지닥…해킹 후유증 극복 가능할까
- [NHN은 지금]게임사에서 '톱티어 테크사'로, 이준호 회장의 선구안
조영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이스코홀딩스, CB 추가 소각 '오버행 해소'
- 유니슨의 '차도지계'
- '자회사 스팩상장' 엑셈, 밸류보다 안전 택했다
- [필에너지 road to IPO]김광일 대표 "기술 리딩기업 지위 공고히 할 것"
- [필에너지 road to IPO]'삼성SDI 글로벌 병참기지' 협력 속 홀로서기 모색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현금 비축기' 티엘비, 2025년 노리고 베트남 투자 '정중동'
- [필에너지 road to IPO]'2차전지 장비 대어' 몸값은 낮추고 실리는 올렸다
- 웰바이오텍, 우크라이나 물류회사 맞손 '재건사업 협력'
- '턴키 탑재' 엘에이티, 코스닥 이전상장 나선다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감산 한파 비켜간 티엘비, 상장후 우량부 직행 저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