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모빌리티, 국내 모빌리티 영업·서비스 체계 강화 중장기 골프카트 사업 계획 수립…올해 30개 서비스점 구축 목표
서하나 기자공개 2023-05-25 10:42:09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5일 10:3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동그룹 산하의 스마트 모빌리티 전문기업 대동모빌리티는 25일 모빌리티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영업서비스망 체계 강화에 나섰다고 밝혔다.현재 대동모빌리티는 △가드닝(승용잔디깎이, 다목적 운반차) △레저&퍼스널(골프카트, 로봇체어) △라스트 마일(전기 스쿠터&트럭) 3개 카테고리의 모빌리티 사업을 하고 있다. 이중 우선적으로 레저와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사업의 국내 시장 리딩을 목표로 영업서비스망의 전면 개편 및 신규 구축을 추진했다.
지난해 말 골프카트, 전기 스쿠터, 0.5톤 전기 트럭 등 모빌리티 상품 개발부터 영업 판매 및 서비스까지 담당할 LM(Last Mile)사업부를 신설하고, 최우선 과제로 국내 골프장비 영업·서비스망의 재정비를 단행했다.
현재 대동모빌리티는 골프 카트를 필두로 골프장 시설 관리 장비인 트랙터, 승용잔디깎이, 스키드로더(Skid Loader), 다목적 운반차 등 보급 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좀 더 세밀한 고객 관리와 신속한 서비스로 판매 증대를 꾀하고자 올해 1분기 경기, 강원·충청, 영남·호남, 제주 4개의 권역별 총판 대리점과 2개의 전국 총판 대리점을 구축했다.
해외 수출도 추진 중이다. 현재 대동모빌리티는 5인승 중심의 골프카트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는데 2인승을 주로 사용하는 북미, 유럽보다는 5인승을 주로 사용하는 일본, 동남아 등이 적합하다 판단, 아시아 시장 공략에 나섰다. 올 초 총판 대리점을 통해 필리핀 A골프장에 120대의 골프카트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시장 공략도 타진, 현재 시장 조사를 진행하며 현지 공급 업체를 물색하고 있다.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에 있어서는 대표 품목인 배터리 교환형((Battery Swapping System, BSS) 전기 스쿠터 GS100을 공식 런칭하고 4월 에임스, 무빙 등의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과의 공급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기업과 기업간 거래(B2B), 기업과 개인간 거래(B2C) 사업을 위한 서비스 체계를 만들고 있다. 먼저 서비스 내부 역량 구축을 위해 국내 판매 및 서비스 허브 역할을 할 쇼룸과 서비스 센터를 대동모빌리티 서울사무소에 오픈하고, 신속한 A/S 대응을 위한 이동식 서비스 차량을 배치해 시범 운영에 돌입했다.
대동모빌리티 S-팩토리에 1회에 최대 30명의 서비스 엔지니어를 교육할 수 있는 서비스 기술 교육장을 마련하고, 모빌리티 정비 실습교육 프로그램 준비에 돌입했다. 전국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한국전기이륜자동차협회와 공동 AS 센터 이용 계약을 체결해 올해 말까지 최소 30개 이상의 직영 서비스점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달 스마트폰으로 모빌리티의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ICT 기반의 '대동모빌리티 커넥트(Connect)' 앱 서비스를 선보였다. 라이더는 이 앱을 통해 스쿠터의 주요 소모품 교체 시기 및 작동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어 좀 더 수월하게 차량 관리를 할 수 있다. 본인 차량의 주차 위치, 배터리 상태 및 충전 스테이션 위치 그리고 일자별 주행 코스, 거리, 시간, 평균 주행 속도 등의 운전 일지도 제공해 효율적인 주행 관리도 가능하다.
박천일 대동모빌리티 LM사업본부장은 "누구나 사용이 편한 혁신적인 스마트 모빌리티 제품을 이용하는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사업 초기부터 체계적이고 탄탄한 영업 서비스망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라며 "이를 통해 대동모빌리티는 고객에게 이동의 자유와 윤택함을 제공해 일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생활밀착형 모빌리티 기업’으로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CFO Change]엘앤에프, 투자자 저변 다변화 이끌 '류승헌 부사장'
- [기업집단 톺아보기]'지주회사' 동원산업, HMM 인수 자신감의 원천은
- 신세계百, '부사장급' 상품본부장에 상무 중용 '파격'
- 소니드온, 배터리 셀 자동 추출 장비 첫 선
- [BGF그룹은 지금]경영참여 한발 늦은 홍정혁, 지배력 확대 방안은
- [롯데의 베트남 시대]"전 계열사 시너지 창출, 자산개발로 전략 전환기"
- 우리기술, 신한울 1·2호기 DCS 예비품 85억 규모 공급
- [thebell interview]직장인 점심 풍경 바꾼 식신 "K-식권 해외에서도"
- 달라진 투자자 시선 뷰노, 수백번 IR 원천 '실적 자신감'
- [시험대 선 삼성 리더]'1인4역' 한종희 부회장, 후계구도가 안 보인다?
서하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EV부품 작은 거인들]모트렉스, 글로벌 매출 비중 '95%' 비결은
- 대동, 제10회 북미 우수 딜러 패밀리 데이 개최
- [EV부품 작은 거인들]모트렉스, 국산화 IVI 개척·충전사업 '쌍두마차'
- [EV부품 작은 거인들]현대공업 '5%대' 영업이익률 비결 'R&D'
- 테크랩스, 불황 속 온라인 마케팅 나홀로 성장 비결은
- 아이에스시, '세미콘 타이완'서 첨단 패키징 테스트 소켓 선보여
- 호주 국보급 와이너리 '펜폴즈'와 '니고'의 설레는 만남
- [EV부품 작은 거인들]현대공업, 올해 공장 세곳 신설…'퀀텀점프' 채비
- [EV부품 작은 거인들]현대차 최장수 1차 벤더 현대공업, 잇단 '수주 낭보'
- DS단석, 연 30만톤 규모 HVO 원료 정제 공장 착공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