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PBS, 새 먹거리 '바이아웃 펀드' 올해 경영권 매각 거래 활발 전망
이명관 기자공개 2025-01-24 15:43:42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0일 08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이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PBS)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더벨이 진행한 업무만족도 조사에서 1위로 발돋움했을 정도로 시장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미래에셋증권은 바이아웃 펀드를 신사업으로 가져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구조조정을 비롯해 인수합병(M&A)이 활발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바이아웃 펀드를 중점 사업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보통 PBS 사업이라고 하면 헤지펀드에 특화된 영역으로 여겨져 왔다.
PBS는 증권사가 사모펀드 운용에 필요한 증권대차와 신용공여, 펀드재산 보관, 관리 등 펀드 운용에 필요한 일련의 서비스를 연계해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국내 헤지펀드 시장 성장을 떠받치며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다.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성장하면서 덩달아 PBS 시장도 성장했다.
증권사의 새로운 먹거리가 되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는 형국이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PBS 사업자는 총 6곳이다. 시장 규모는 52조원에 이른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에셋증권이 새로운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보통 바이아웃 펀드라고 하면 경영권 인수하기 위해 결성한 펀드를 뜻한다. 헤지펀드 운용사들의 경우 바이아웃 펀드와는 거리가 있다. 멀티전략과 메자닌, 공모주, 에퀴티 헤지, 롱오니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 바이아웃의 경우 정통 사모펀드 운용사들의 영역으로 보면 된다.
미래에셋증권이 바이아웃 펀드를 새로운 공략처로 꼽은 것은 최근 헤지펀드 운용사들도 바이아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다. 헤지펀드 시장도 포화상태에 이른 상태다. 이에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관심이 많다. 그간 해오진 않던 새로운 전략의 펀드를 론칭하는가 하면 아예 경영권 인수까지 관심을 갖고 있다.
이에 PE부문을 신설하거나, 별도 회사로 설립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대형 운용사뿐만 아니라 중소형 운용사까지 관심도가 큰 편이다. 대표적인 게 타임폴리오운용이다. 타임폴리오운용은 자회사로 PEF 운용사를 설립했다. 키웨스트운용은 코스닥 상장사의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미래에셋증권으로선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고 봤다. 특히 2025년엔 경영권 매각 딜이 다수 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구조조정 매물 혹은 승계과정에서 나오는 매물 등 다양하게 등장할 것이라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경기 침체 속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는데, 올해 그 반대급부로 구조조정을 위한 경영권 매각 거래가 다수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2세, 3세로의 승계 과정에서 세금문제로 매물로 나오는 딜도 꽤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으로선 지난해 좋은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지 무목된다. 2024년 미래에셋증권은 더벨이 진행한 PBS업무만족도 조사에서 1위에 올랐다. 2023년 6위에서 단숨에 1위에 오르면서 저력을 드러냈다.
매년 국내 헤지펀드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 만족도 조사 항목은 PBS의 주요 업무인 △대차(Securities lending & borrowing) △차익거래·신용공여(Cash lending) △스왑(Swaps)·해외지원(Overseas Business) △주문처리(Trading) △시딩(Seeding)·자금 유치(Capital introduction) △위험관리(Risk management) △마케팅(Marketing) △수탁 관리자(Custodian) 등이다. 여기에 전반적인 업무 만족도 조사를 추가해 총 9가지 항목으로 진행했다. 미래에셋증권은 9개 전체 항목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운용사 모으는 미래에셋증권, '포스트 IPO'까지 챙긴다
- NH프리미어블루, '알테오젠' 포트폴리오에 담았다
- 르네상스운용, '공모주플러스 2호' 펀드 론칭
- [교보악사운용은 지금]7년만에 ETF 시장 재진출…라인업 확보 필수불가결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하나증권, 단기물 투자자 대응에 '분주'
- '전주행' 운용사들 모은다…JIFC 설립 재추진 채비
- 신세계그룹, '하남 스타필드' 유동화 방식 변경 추진
- 타이거운용, 목표달성·손익차등 결합 펀드 내놨다
- [Market Watch]"2차전지 회복 언제쯤"…운용업계 리밸런싱 '분주'
- [thebell interview]"웰콘시스템즈, 로보틱스 골드러시 시대 진 셀러 될것"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NH프리미어블루, '알테오젠' 포트폴리오에 담았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하나증권, 단기물 투자자 대응에 '분주'
- KB운용, 하이트진로 서초사옥 매각 '차익' 없다?
- NH프리미어블루, 투자 포트폴리오 '루닛' 기대감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물류센터 펀드'까지 타격입나
- PB센터, 공매도 재개에 '롱숏하우스' 찾는다
- 홈플러스 '주관사·판매사' 모인다…법정다툼 비화 가능성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법원행 선제 대응, 운용업계 불똥튀나
- 유경PSG운용, '홈플러스 펀드' 대출만기 1년 연장
- [WM헤드 릴레이 인터뷰]"고객동맹 핵심 '수익률', 영업 키워드 '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