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3월 11일 07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소유분산 기업이란 지분이 분산돼 있어 지배주주가 없는 회사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선 금융지주와 KT, 포스코가 있다. 주인이 없는 만큼 정권이 바뀔 때마다 홍역을 치른다. 회장 선임을 놓고도 매번 잡음이 불거지다보니 이를 방어하기 위한 지배구조 손질이 자주 이뤄지는 편이다.포스코는 최근 회장의 연임 문턱을 높였다. 조만간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기존 보통결의 사안이었던 회장의 3연임 사안을 특별결의로 바꿀 예정이다. 지금까지는 연임 횟수에 상관없이 출석주주의 50% 이상이 찬성하면 가능했다.
KT도 2023년 진통 끝에 기준을 높였다. 포스코나 KT 모두 연임 혹은 3연임할 경우 출석주주의 66.7% 이상의 찬성표를 받아야 한다. 10명 중에 7명인데 마음만 먹으면 주주들이 뜻을 모아 연임을 막을 수 있는 수치다.
반면 지배구조가 가장 선진적이라는 금융지주는 어떨까. 최초 선임이든 연임이든 모든 금융지주에서 출석주주의 50% 이상의 찬성만 얻으면 된다. 일단 이사회의 선택을 받으면 주총에선 주주들이 제동을 걸기 어렵다. 말로는 50%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지만 우리나라 주총의 현실을 볼 때 주주들이 웬만큼 똘똘 뭉치지 않고서야 연임을 막기 어렵다. 이사회의 선택이 사실상 회장에 오르는 '프리패스'인 셈이다.
연임도 당연하게 여겨진다. 최근 10년을 살펴봐도 주요 금융지주 회장이 단임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 연임은 물론 3연임에 성공한 인물도 있다. 하나금융에서도 최근 함영주 회장이 가뿐하게 연임에 성공했다. 회장 선임 과정을 살펴보면 모든 금융지주를 다 통틀어도 연임과 관련한 허들은 나이 제한뿐이다. BNK금융 한 곳만 다소 예외적으로 나이가 아닌 연임 횟수를 제한하고 있다.
처음부터 방향이 잘못됐다. 단추를 잘못 끼웠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나이 제한은 탄생 배경부터가 조금 찝찝한 구석이 있다. 더 적합한 인물을 회장으로 뽑기 위해서가 아닌 특정 인물의 장기 집권을 막기 위한 '네거티브'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금융지주 역시 포스코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50%에서 67%. 17%포인트의 수치 변화지만 그 의미가 상당하다. 다른 걸 다 떠나 이런저런 조건을 달아 연임에 도전할 기회 자체를 뺏는 것보단 그간의 성과로 주주들이 판단하는 게 맞다. 포스코 회장 선임의 공은 이사회에서 주주에게 넘어갔다. 이제 금융지주 차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조은아 금융부 차장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신한금융, 자회사 13곳 이사회에 지주 임원 참여…가교 역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인사' 책임지는 신한금융지주 COO의 존재감
- [생명보험사는 지금]삼성생명, 빅3 중 유일하게 오너 영향권 밖, 영향은
- 교보생명, 교보금융연구소장으로 UBS 출신 영입
- 신한금융,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자산운용 사업 철수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신한금융지주에서 '부사장'이 되려면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임원 비중 5% '별따기 힘든' 신한금융지주
- [생명보험사는 지금]'넘사벽'이 되어버린 삼성생명의 고민은
- [생명보험사는 지금]30년 넘게 이어진 빅3 체제, 깨질 수 있을까